autorenew
Qubic의 모네로 51% 공격 의혹: 사상 최악의 리오그와 암호화폐에 미치는 영향

Qubic의 모네로 51% 공격 의혹: 사상 최악의 리오그와 암호화폐에 미치는 영향

빠르게 변하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혁신과 변동성이 맞물리는 가운데 최근 한 사건이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개발자 피터 토드는 X(구 트위터)를 통해 덜 알려진 프로젝트인 Qubic이 프라이버시 중심의 대표 코인 중 하나인 모네로에 대해 대담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모네로(XMR)는 익명성을 강조하는 암호화폐로, 비트코인처럼 작업증명(PoW) 합의를 사용하지만 거래를 추적 불가능하게 만드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토드의 트윗은 Qubic이 모네로 채굴 파워의 51% 이상을 확보해 51% 공격 가능성을 열었다는 게시물을 인용합니다. 51% 공격이란 단일 주체가 네트워크의 전체 해시레이트 중 절반 이상을 통제할 때 발생하는데, 이는 블록체인 거래 기록을 다시 쓸 수 있고, 코인의 이중 지불이나 다른 사용자가 채굴한 블록을 무효화(고아 블록 생성)할 수 있게 만듭니다.

모네로 네트워크 해시레이트의 52.36% 점유를 보여주는 Qubic 풀 통계

@CaffeinatedUser의 인용 게시물에 따르면 Qubic은 채굴자들에게 직접 모네로를 채굴하는 것보다 최대 3배 더 높은 보상을 제공하며 인센티브를 줍니다. 수익은 절반을 채굴자에게 주고, 나머지 절반으로는 QUBIC 토큰을 매수·소각해 토큰 가치를 높이는 전략입니다. 이 전략이 성공하면 Qubic은 모네로의 모든 블록을 채굴하여 하루 약 432 XMR(현재 가치 약 11만 8천 달러)를 획득하며, 절반은 토큰 소각 메커니즘에 투입됩니다. 단순 채굴이 아니라, 3억 달러 시장가치를 가진 프로젝트가 60억 달러 규모 코인의 관문이 되는 전략적 인수인 셈입니다.

하지만 상황은 더 복잡해집니다. 토드는 이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모네로 블록체인의 “대규모 리오그”를 지적합니다. 리오그(재조직화)는 긴 체인이 현재 체인을 대체할 때 발생하는데, 종종 경쟁하는 채굴자 간 충돌에서 비롯됩니다. 이번 경우에는 @monerobull이 공유한 바와 같이 모네로 역사상 가장 깊은 리오그가 발생했습니다. Qubic과 연관됐을 수 있는 미확인 풀들이 여러 블록을 덮어써 지배권을 바꿨고, 경계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최근 블록을 장악한 미확인 풀들이 모네로 블록체인 리오그를 보여주는 터미널 스크린샷

회의적인 시선도 존재합니다. @mjwymbs는 이를 "근거 없는 FUD(두려움, 불확실성, 의심)"로 평가하며 Qubic의 점유율이 부풀려졌고 최근 블록에서는 20% 미만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Qubic 가격을 띄우려는 과장 광고라 보고 있으며, 공격적 마케팅과 AI 주장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를 ‘폰지 코인’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반면 @NotIshanSingh은 모네로 같은 최상위 암호화폐가 이런 프로젝트의 표적이 된 현실을 한탄하며 PoW 시스템의 취약점을 강조합니다.

이번 사건은 탈중앙화 채굴의 주요 위험을 상기시켜 줍니다. 모네로의 RandomX 알고리즘은 ASIC 저항성을 목표로 설계돼 CPU 채굴을 선호하며 접근성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Qubic의 모델이 충분한 해시파워를 끌어모으면 중앙 집중화가 진행되어 모네로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monerobull은 Gupax 같은 채굴 도구를 사용해 위협에 대응하길 권장하며, Qubic의 다가오는 반감기가 수익성 우위를 끝낼 것이라 예측합니다.

밈 토큰 애호가들 입장에서는 Qubic이 토큰 소각, 탈중앙 AI 약속, 그리고 이번 대담한 공격으로 대표되는 과장된 마케팅 전략을 가진 프로젝트와 맞아떨어집니다. 이는 바이럴 효과가 지배하는 밈 코인 시장에서 모네로 같은 확립된 플레이어도 예외가 아님을 상기시켜 줍니다. 이러한 전략이 다른 곳에서도 모방될 가능성이 있으며, Kaspa나 다른 PoW 밈 프로젝트들이 주목할 수 있습니다.

사태가 진정되는 가운데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이것이 혁신인지 착취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며, 모네로의 회복력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이런 사건들은 업계를 더 나은 보안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블록체인 드라마는 멈추지 않습니다.

주요 요점

  • 51% 공격 기본: 과반 해시파워 통제 시 체인 조작 가능, 드물지만 치명적인 사건.
  • Qubic 전략: 높은 보상과 토큰 소각으로 모네로 채굴 장악 및 시세 상승 노림수.
  • 모네로 대응: 커뮤니티 채굴 독려와 향후 변화로 공격 저지 시도.
  • 광범위한 함의: 소규모 또는 밈 성격 프로젝트의 PoW 중앙화 위험 부각.

밈 토큰이나 프라이버시 코인에 관심 있다면 모네로 공식 사이트와 Qubic의 동향을 주시하세요. 여러분은 이번 사태를 게임 체인저로 보시나요, 아니면 단순 쇼로 보시나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