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돌아가는 암호화폐 트레이딩 세계에서는 청산 하나가 하룻밤 사이에 운명을 갈라놓습니다. 밈 토큰에 관심이 있다면 변동성이 얼마나 심한지 잘 알 겁니다—레버리지는 수익을 키워주지만 시장이 돌아설 때 포지션을 순식간에 날려버리기도 합니다. 최근 유명 트레이더 Ansem (@blknoiz06)는 X에 올린 짧지만 통찰력 있는 글에서 암호화폐에서 발생하는 대형 롱 청산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을 정리했습니다. 이를 분해해 현재 시장, 특히 다음 큰 밈코인 펌프을 쫓는 사람들에게 무슨 의미인지 살펴보죠.
Ansem은 다음을 지적했습니다:
암호화폐에서의 대형 롱 청산은 두 종류가 있다
• 강세장에서 레버리지를 정리하는 청산 — 며칠에서 몇 주 안에 현물 매수세가 들어와서 모든 것을 V자 반등으로 새 고점까지 되돌리는 경우 (2021-01-11)
• 매수세의 탈진을 알리는 청산 — 추세의 종료를 의미하는 경우 (2021-12-04)
초심자를 위해 설명하자면, "롱 청산(long liquidation)"은 가격 상승에 베팅한 트레이더들(롱 포지션)이 가격이 크게 하락해 강제로 포지션이 정리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보통 Binance나 Bybit 같은 레버리지 거래 플랫폼에서 발생합니다. "V-reverse"는 가격이 급격히 V자 형태로 반등해 빠르게 새 고점으로 복구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Ansem은 역사적 비트코인 사건을 언급합니다: 2021년 1월 11일에는 강세장 중 대규모 청산이 있었지만 단순한 셰이크아웃(shakeout)이었고, 레버리지가 정리된 뒤 현물 매수자들이 들어와 BTC를 곧바로 새 고점으로 밀어올렸습니다. 반면 2021년 12월 4일은 매수세의 탈진을 알리는 신호였고, 2021년 강세장의 끝과 장기 약세장의 시작을 의미했습니다.
이게 왜 밈 토큰에 중요할까요? Solana 상의 Dogwifhat나 Bonk 같은 밈 코인들은 종종 레버리지가 많이 걸린 투기적 매매 대상입니다. 첫 번째 유형처럼 강세장 리셋이라면, 딥에서 저평가된 밈을 매수할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두 번째 유형이라면 파티가 끝났다는 의미일 수 있고, 좋아하는 밈이 금세 시들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게시물은 리플라이에서 활발한 토론을 촉발했습니다. 예를 들어 @0xPajke는 매수세의 탈진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곧 있을 금리 인하로 인한 저비용 자본이 추가 매수를 촉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매수세 탈진이라고 믿을 이유가 뭐임?
자본이 지금 되게 싸고 앞으로 몇 달 더 싸질 거임
걔네는 쉽게 더 많은 돈과 부채를 조달해서 정크를 살 수 있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전통 시장에서의 변동성 둔화를 보여주는 차트들을 공유했습니다:
이것은 흔히 주식의 '공포 지수'라고 불리는 VIX로, 급등했다가 진정되는 모습을 보여—시장이 패닉 상태는 아니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채권 변동성을 나타내는 MOVE 지수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며, 고정수익 시장이 안정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좁혀지는 것도 투자자들이 위험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다른 리플라이들은 낙관적 전망(@0xPoundSterling는 10월·11월에 BTC 신기록을 예측)에서부터 회의적인 시각까지 다양했습니다. @grimacexbt라는 사용자는 2021년의 교훈을 2025년의 횡보적·변동성 높은 장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밈 토큰 애호가로서 이런 신호들을 주시하세요. 우리가 강세 리셋 국면에 있다면, 딥에서 저평가된 밈을 담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탈진 신호가 명확하다면 리스크를 줄일 시기일 수 있습니다. Ansem의 글은 모든 청산이 같은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맥락이 이 게임에서는 핵심입니다.
Meme Insider에서 거시적 이벤트가 여러분이 좋아하는 블록체인 플레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더 많은 분석을 계속 제공합니다. 현재의 청산 물결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아래에 코멘트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