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의 거친 세계에서, Dogecoin 같은 밈코인이나 신생 토끼들이 문샷을 약속할 때가 많다. 그런 가운데 X(구 Twitter)에 올라온 한 베테랑의 스레드는 과대광고를 가르며 핵심을 짚어준다. @aixCB_Vc가 공유한 이 스레드는 2014년부터 비트코인 커뮤니티에 있던, 지금은 AI와 DeSci를 개발하는 @cryptoboys27의 통찰을 인용한다. 10년간의 굴곡을 겪은 끝에 그는 실제로 통하는 전략을 털어놓았고, 이는 밈코인의 빠른 매매를 쫓는 이들에게 경종이 된다.
암호화폐 10년의 값진 교훈
암호화폐는 단순한 저가 매수 고가 매도가 아니다. 인내와 체력이 필요한 마라톤이다. @cryptoboys27에 따르면 그는 첫 백만 달러를 만들기까지 8년의 '고통'을 겪었다고 한다.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그의 핵심 교훈은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는 실질적인 수익이 필요하다: 힙합한 화제성은 금방 사라진다—토큰이나 프로젝트가 돈을 벌지 못하면 운명은 어둡다. 밈코인 판에서는 바이럴한 관심을 넘어서야 한다.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는 파트너십이나 유틸리티 같은 수익 창출 구조를 통해 사그라지지 않는다.
트레이더는 이익을 확정해야 한다: 자신의 보유물(일명 "bags")에 과도하게 애착을 가지지 말라. 이익이 났을 때는 팔고 USDC 같은 스테이블코인에 보관한 뒤, 조정이 올 때 재매수하라. 이 사이클이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포트폴리오를 성장시킨다.
복리의 힘은 강력하다: 작은 수익들이 시간이 지나면 큰 차이를 만든다. 현명하게 재투자하면 기하급수적 성장이 가능하다. 밈코인 트레이더가 2x나 5x 수익을 얻은 뒤 이를 다음 기회로 복리처럼 불려나가는 식이다.
단순함을 유지하라: 시장 변동과 기술 용어만으로도 충분히 복잡하다. 전략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만들면 실수로 이어진다. 기본에 충실하라: 리서치, 분산투자, 사이클을 견디기.
인내가 보상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빨리 포기해서 단기 손실을 실패로 오해한다. 버티고 고통에서 배우면 시장은 보상해준다. 낮은 IQ가 문제인 게 아니라 포기하는 것이 문제다.
이 조언들은 특히 FOMO(놓칠까 두려움)가 충동적 매수를 부추기는 밈코인 장에서 더 와닿는다. 스레드가 지적하듯, 진짜 부는 단순한 운이 아니라 전략에서 온다.
조용한 거인들: 수십억을 벌어들이는 스테이블코인들
진짜 놀라운 점은 우리가 다음 밈코인 펌프를 찾는 사이, 실질적인 무게감을 가진 건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사실이다. @aixCB_Vc는 Tether(USDT)와 Circle(USDC) 같은 발행사들이 사실상 리스크 거의 없이 돈을 찍어내고 있다고 강조한다.
- Tether는 2024년에 무려 130억 달러의 이익을 보고했고, 2025년 2분기만 해도 49억 달러를 기록했다.
- Circle은 2024 회계연도에 16.7억 달러의 수익을 냈고, 2025년 2분기에 6.58억 달러를 추가로 벌어들였다.
어떻게 가능할까? 그들은 막대한 준비금을 미국 국채(US Treasuries)에 예치해 약 4.5%의 수익을 얻는다. USDT 공급이 1,670억 달러라면 연간 약 75억 달러, USDC의 700억 달러 규모는 연간 약 31억 달러의 이익을 만들어낸다. 여기에 결제 수수료, 은행 제휴, 유동성 서비스, Ethena 같은 DeFi 헤징 도구에서 나오는 수수료까지 더해지면 기본 수익은 훨씬 커진다.
요점은 명확하다.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는 밈코인이 아니다… 스테이블코인 지배자들이 조용히 수십억을 무위험으로 벌고 있다." 밈코인 투기꾼들이 변동성 높은 2x~5x를 쫓는 동안, 이 스테이블들은 편히 앉아 안정적인 수익을 영구적으로 거둬들인다.
밈 토큰 커뮤니티 입장에서는 현실 직시가 필요하다. 밈코인은 커뮤니티와 밈으로 번성하지만, staking 보상이나 현실 세계 유틸리티 같은 수익 모델을 도입하면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에코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항구처럼, 거래 중 우리가 쌓아두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밈 토큰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Meme Insider는 블록체인 내 밈 토큰의 혼란을 해독하는 데 주력한다. 이 스레드는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과열된 이벤트는 재미있지만, 수익을 만드는 게 왕이다. 밈코인을 만들거나 투자한다면 장기적으로 생각하라. 스테이블에게서 영감을 받아 단순한 바이럴이 아니라 수익을 창출하는 가치를 만들어라.
얼마나 오래 암호화폐 업계에 있나요, 그리고 당신의 가장 큰 교훈은 무엇인가요? 아래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고, 더 많은 인사이트는 meme-insider.com에서 확인하세요. 다음 물결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