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Buildathon 선언문: 왜 마라톤 스타일의 빌드가 스프린트 해커톤을 이기는가 – BNB Chain 행사에서 AKINDO가 얻은 핵심 교훈

Buildathon 선언문: 왜 마라톤 스타일의 빌드가 스프린트 해커톤을 이기는가 – BNB Chain 행사에서 AKINDO가 얻은 핵심 교훈

AKINDO는 빌더 커뮤니티 전체에 한 가지를 상기시켰다. 코드를 배포하는 것은 쉽지만 — 프로젝트를 수년간 살아남게 하는 것이 어렵다.

최근 열린 BNB Chain x YZi Labs 해크 시리즈에서 AKINDO의 CSO Mozzen (@0xMozzen)은 단순한 “빠르게 런칭하는 방법”을 넘어서는 실전 세션을 진행했다. 핵심 메시지는 명확했다. 지속적인 채택을 원한다면 주말형 해커톤 스프린트에서 마라톤형의 “Buildathon”으로 전환하라는 것이다.

AKINDO CSO Mozzen이 Buildathon 선언문을 발표하는 모습 – 장기적 관점으로 빌드하라, 스프린트가 아니라 마라톤

모두가 화제로 삼는 슬라이드는 분명히 말한다: 진짜 제품은 스프린트가 아니라 마라톤에서 만들어진다.

빌더들이 Mozzen의 장기적 Buildathon 접근법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핵심 슬라이드: 돈은 인프라 레이어에 집중된다 – 암호화폐 가치의 전형적인 멱법칙 분포를 보여줌 Mozzen이 빌더들에게 Buildathon 선언문 원칙을 설명하고 있다

Buildathon이 정확히 뭔가?

전통적인 해커톤 = 48시간의 카페인 폭주 → 데모 →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다음 주에 사망.

Buildathon(AKINDO의 WaveHack 모델) = 시즌 단위의 지속, 반복되는 바운티, 장기 인센티브, 실제 제품-시장 적합성(제품-마켓 핏)을 찾는 과정. 목표는 GitHub 무덤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전체 앱 생태계를 성장시키는 것이다.

왜 이 접근법이 밈 코인 팀들에게 특별히 와닿는가

대다수의 밈 코인은 런칭을 해커톤 주말처럼 취급한다:

  • Fair-launch 또는 스텔스 런칭
  • 바이럴 레이드 캠페인
  • 1000× 펌프
  • 개발자는 조용히 무대에서 퇴장

생존하는 것들(DOGE, PEPE, BONK 등)은 우연이든 의도적이든 마라톤 모드로 전환했다 — 지속적인 밈, 커뮤니티 주도, staking 보상, 자선 활동, 이후에 추가된 실질적 유틸리티 레이어들.

Mozzen의 세션은 본질적으로 빌더들에게 우연한 장수성을 의도적으로 만들기 위한 플레이북을 건넸다:

  • 초기 스나이핑(sniping)만을 보상하지 않고, 보유와 기여를 보상하는 인센티브 설계
  • 커뮤니티가 계속해서 밈, 콘텐츠, 도구를 제작하도록 지속적인 퀘스트/바운티 운영
  • 단기 유동성 대신 장기적인 생태계 성장과 정렬된 tokenomics

특히 BNB Chain(낮은 수수료 + 대규모 리테일 오디언스)에서는 이 마라톤 마인드셋이 2주차에 러그되는 수천 개 중에서 다음 전설적 밈을 가를 수 있다.

AKINDO 자신은 행사 후 스레드에서 이를 완벽하게 요약했다:

“제품을 만드는 것은 시작일 뿐이다.”

만약 당신이 밈 코인 창업자거나 커뮤니티 리더로서 토큰이 첫 주 이후에 급격히 식어버린 이유를 궁금해한다면, 답은 아마 거기에 있다. 진짜 승자는 장기전을 펼친다.

WaveHack을 주목하라 — 일회성 데모보다 지속적인 빌딩을 보상하는 플랫폼이야말로 밈 섹터가 드디어(조금이라도) 성숙해지는 데 필요한 열쇠일지도 모른다.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