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하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대규모 투매( capitulation )만큼 시장 변화를 알리는 신호도 드뭅니다. 최근 DeFi 애널리스트 Ignas(@DefiIgnas)은 X에 일련의 스레드를 올리며 알트코인 투자자들 사이의 커져가는 좌절감을 지적했습니다. 그의 관찰은 특히 밈코인 섹터에서 많은 커뮤니티가 전략을 재평가하는 시점에 나왔습니다.
초보자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캡출레이션(capitulation)은 투자자들이 희망을 포기하고 손실을 확정하면서 보유 자산을 매도하는 시점을 말하며, 종종 하락 추세의 바닥을 표시합니다. Ignas는 "CT(Crypto Twitter) 전역과 내 DM에서 알트 전반에 걸친 완전한 캡출레이션을 보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많은 이들이 사이클 초기에 비트코인을 건너뛰고 과거 패턴이 반복된다는 '구식 플레이북'에 기대를 걸었다고 지적합니다.
대신 새로 유입된 자금은 다른 곳으로 흘러갔고, 그 결과 '오래되고 지루한 토큰'을 보유한 사람들은 뒤처지게 됐습니다. 투자자들은 먼저 유통량이 적고 FDV(Fully Diluted Value)가 큰 저플로트 토큰에서 손실을 입었는데—유통 공급은 적지만 전체 밸류가 큰 프로젝트들은 종종 급격한 덤프를 초래합니다. 이어서 밈코인 광풍이 이어졌고, 과대광고된 자산들은 빠른 수익을 약속했지만 많은 이들에게 변동성과 손실을 안겼습니다.
스레드에 공유된 한 스크린샷에서, 한 트레이더는 4년간 알트에 투자했지만 투자금조차 두 배가 되지 않아 지친 심경을 드러냅니다. 그들은 Ethereum(ETH), Solana(SOL), 그리고 경우에 따라 Pudgy Penguins(PP)—밈성 높은 인기 NFT 컬렉션—을 비트코인(BTC)으로 전환하려 계획하고 있으며, BTC와 몇몇 Pudgy만 보유하려 한다고 합니다. 이 감정은 보다 넓은 실망감을 반영하며, 트레이더는 농담조로 ETH를 $1,000에, SOL을 $50에 다시 사겠다고 말합니다—현재 수준보다 훨씬 낮은 가격입니다.
Ignas는 또한 'DAT trades'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데이터 또는 AI 관련 토큰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역시 상황이 좋지 않았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MicroStrategy의 Michael Saylor식 비트코인 채택 같은 기업 차원의 도입을 기대했지만, 대신 내부자들이 현금을 회수할 때 '출구 유동성(exit liquidity)'이 되었습니다—즉, 초기에 매수한 이들이 매도할 때 개인들이 들어와서 물량을 받아냈다는 뜻입니다.
알트코인 역학의 변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Ignas는 변화의 징후를 봅니다. 알트코인 플레이북이 진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상위 10개 대출 앱 중 다섯 곳이 토큰 바이백을 진행해 공급을 줄이고 가치 상승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Uniswap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와 Ethereum 스테이킹 서비스인 Lido 같은 프로토콜은 토큰 홀더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메커니즘인 'fee switches'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홀더 보상을 향한 이러한 움직임은 다른 프로젝트들에도 영감을 줄 수 있지만, Ignas는 이것이 빠른 해결책은 아니라고 경고합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에는 공유할 실제 수익이 없고, 수익이 있는 프로젝트들조차 P/E(주가수익비율) 같은 지표로 보면 여전히 과대평가된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알트들은 그들의 투기적 '새로운 것' 프리미엄을 보다 지속 가능한 밸류로 재가격(repricing)하고 있습니다.
스레드의 또 다른 스크린샷은 @Cryptoyieldinfo의 글을 보여주는데, 해당 사용자는 알트와 레버리지를 완전히 버리고 스팟 비트코인 75%와 이더리움 25%로 '은퇴'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DeFi 수익률이 현재로서는 리스크를 감당할 가치가 없다고 주장하며 언젠가 비트코인이 $1,000,000로 급등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규제적 촉매제(카탈리스트)가 다가오다
Ignas에 따르면 주목할 주요 포인트는 CLARITY Act입니다. 이 제안된 법안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적 명확성을 제공해 증권과 상품을 구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알트의 펌프를 허가하진 않겠지만, 이는 체제 변화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 공간에서 새로운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밈코인 지지자들에게 이 스레드는 냉정한 상기입니다. 밈코인은 종종 펀더멘털보다는 커뮤니티의 과대광고와 바이럴 트렌드에 의해 추진되는데, 이번 사이클에서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Pudgy Penguins 같은 프로젝트는 밈 뿌리를 갖고 있지만 NFT와 더 넓은 생태계로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본이 비트코인과 확립된 자산에 집중되면서, 밈 토큰은 실질적 유틸리티를 증명하지 못하면 추가 재가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밈 토큰 투자자들에게 주는 시사점
Meme Insider에서는 이러한 광범위한 시장 변화가 밈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합니다. 상위 프로토콜들이 가치 축적—즉 홀더와 수익을 공유하는 데 집중한다면 밈코인 팀들도 이를 따를 수 있습니다. 밈 프로젝트가 바이백을 도입하거나 굿즈, 게임, 파트너십에서 나오는 수익을 분배하는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투기에서 지속 가능한 모델로의 전환은 스레드의 한 답글이 말하듯 95%의 실제 사용자나 수익이 없는 토큰들에게는 '잔혹'합니다.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토큰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관심과 자본은 분산되어 손실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Ignas의 스레드에 대한 답글들도 이러한 주제들을 반영합니다. 한 사용자는 CLARITY Act가 알트를 구원할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이었고, 다른 사용자는 아이러니를 지적했습니다: 4년간 2배의 수익은 전형적인 S&P 500의 7~10년보다 낫지만, 암호화폐의 높은 판돈 속에서는 실패로 느껴진다는 점입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로서 이러한 트렌드를 계속 파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밈코인을 보유하든 DeFi를 탐색하든, 캡출레이션 단계의 이해는 진입과 퇴출 타이밍을 더 잘 잡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밈 토큰 전략과 최신 암호화폐 뉴스를 더 보고 싶다면 우리의 지식베이스(https://meme-insider.com/knowledge-base)를 확인하세요.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이것이 알트코인 시대의 종말인가, 아니면 단지 리셋일 뿐인가요? 아래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 전체 맥락은 원문 스레드(X)를 참조하세요: https://x.com/DefiIgnas/status/199072688764002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