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Ansem의 'Oh My God' 트윗: 밈코인 공매도의 위력을 발견했나?

Ansem의 'Oh My God' 트윗: 밈코인 공매도의 위력을 발견했나?

때로는 단 세 단어의 트윗이 암호화폐 커뮤니티 전체를 뒤흔들 수 있다. 2025년 10월 7일, X에서 @blknoiz06로 활동하는 유명 트레이더 겸 인플루언서 Ansem이 "oh my god"를 올린 것이 바로 그 사례다. 44,000회 이상의 조회수와 수백 건의 반응을 불러일으킨 이 모호한 놀람 표현은 순식간에 추측, 농담, 그리고 물론 밈코인 홍보의 자석이 되었다.

반응을 촉발한 원인은?

Ansem은 평범한 트레이더가 아니다. 그는 Telegram 봇과 온체인 실행을 통해 밈코인 발견과 거래를 쉽게 해주는 플랫폼인 BullpenFi의 창업자이자 투자자다. 그래서 그가 "oh my god" 같은 폭탄 발언을 하면 사람들은 귀를 기울인다. 답글 곳곳에서 제기된 인기 있는 이론 중 하나는 Ansem이 밈코인을 공매도할 수 있다는 사실이나 새로운 기능을 알게 돼 놀랐다는 것이다. 공매도(shorting)는 가격 하락에 베팅해 하락 시 이익을 얻는 전략이다. 몇 시간 만에 펌프와 덤프가 일어나는 변동성 높은 밈코인 세계에서는 이런 기능이 판도를 바꿀 수 있다.

사용자 @yqboom의 답글은 "Ansem이 방금 밈코인을 공매도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네"라며 핵심을 찔렀다. 농담인지 정확한 분석인지 여부를 떠나, 이는 BullpenFi 같은 플랫폼이 기존에는 Bitcoin이나 Ethereum 같은 큰 자산에 주로 적용되던 고급 거래 전략을 밈코인 거래에도 도입하려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놀람과 도전적인 표정의 Pepe 개구리 밈 반응 이미지

밈코인 홍보 폭풍

Crypto Twitter(또는 X)의 전통처럼, 댓글란은 각종 밈 토큰 홍보로 폭발했다. 인플루언서의 게시물이 홍보의 황금 부지로 전락하는 전형적인 예다. 눈에 띄는 답글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HARIKO: 사용자 @marrriiko는 지갑에 '축복'을 가져다줄 것이라며 계약 주소(0x949c255362e21042b26cf6a6b54cbb218b50090c)와 함께 소개했다. 번거로움 없이 행운을 준다는 컨셉으로 일본풍의 귀여운 개 캐릭터를 테마로 한다. 유틸리티보다는 분위기를 팔고 싶은 토큰을 좋아한다면 조용히 성장 중인 프로젝트다.
귀여운 개 캐릭터가 등장하는 $HARIKO 밈코인 홍보 이미지
  • $PFP: @CryptoGp88는 "당신은 $PFP 컬트 커뮤니티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나?"라며 영상을 공유했다. 애니메이션에는 비밀 결사처럼 연못에 모인 Pepe 개구리들이 등장해 커뮤니티 중심의 밈코인 정서와 잘 어울린다.

  • $JAKE: @Orangiepie15가 소개한 이 BNB 기반 토큰(계약: 0xFb0e7e51293602F13F1a2F8D4A208FB906944444)은 하룻밤 사이에 10배를 노리는 "옐로 레전드"로 묘사됐다. 내재 가치보다는 분위기 중심의 전형적인 밈코인이다.

  • $CORGI: @garnachoszn17는 이 토큰을 러그풀 피해자들의 구세주로 포지셔닝하며 구출 콘셉트의 이미지를 함께 올렸다.

그 외에도 얼빠진 표정, 와우 반응, 더 많은 Pepe 밈 등 장난스럽고 혼란스러운 공간의 특성이 잘 드러났다.

왜 밈코인 공매도가 중요한가

만약 Ansem의 트윗이 정말 공매도와 관련된 것이라면, 이는 밈코인 시장의 성숙을 의미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밈코인은 롱 포지션이 기본이었다—싸게 사서 펌프를 기대하고 팔기. 하지만 레버리지와 숏(일부 DEXs와 플랫폼에서 제공)이 도입되면 트레이더들은 하락장에서 헤지하거나 이익을 낼 수 있다. 밈 발굴과 거래에 초점을 맞춘 BullpenFi 같은 플랫폼이 이러한 기능을 도입하거나 부각시키고 있다면, 복잡한 셋업 없이도 개인 투자자들이 참여하기 쉬워질 수 있다.

물론 공매도는 위험을 동반한다: 가격이 예상치 못하게 급등하면 손실은 무한대가 될 수 있다. 밈코인에서는 심리가 순식간에 뒤집힐 수 있어 소심한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항상 스스로 조사(DYOR)를 하고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라.

밈 토큰의 더 큰 그림

이 스레드는 밈코인이 번성하는 이유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커뮤니티, 유머, 그리고 FOMO(놓칠 수 있다는 두려움). Ansem 같은 인플루언서가 내러티브를 이끌고, 암호스러운 트윗 하나가 새로운 토큰이나 전략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출 수 있다. 블록체인 실무자라면 거래 도구와 트렌드를 꾸준히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밈코인에 뛰어들 계획이라면 온체인 거래가 쉬운 BullpenFi 같은 플랫폼을 확인해보자.

Ansem은 무슨 뜻으로 썼을까? 공매도였나, 마켓 펌프였나, 아니면 단순한 감탄사였나? 아래 댓글로 의견을 남겨달라. 밈 토큰의 거친 세계에 대한 더 많은 업데이트는 Meme Insider를 주시하라.

원본 스레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