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le Labs가 최신 호인 The Castle Chronicle, 136호를 공개했습니다. 암호화폐 분야를 탐색하는 누구에게나 시의적절한 통찰을 담고 있는 이번 호는 @castle_labs의 트윗을 통해 공유되었으며, 비트코인의 잠재적 상승 요인부터 혁신적 프로토콜, 밈 토큰 전략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밈 애호가로서 우리는 BONK과 PUMP 같은 인기 밈의 페어 트레이딩에 대한 언급에 특히 흥미를 느꼈습니다. 섹션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Market Watch: BTC와 주요 성과 코인
전체적인 큰 그림부터 시작하면, 크로니클은 비트코인의 현재 상태를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단기적 약세가 있긴 하지만 BTC는 상위 시간대에서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지수이동평균(EMAs) 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분석은 아직 더 오를 "연료(fuel)"가 남아 있다고 보지만, 진입 전에 확인 신호를 기다리라고 권고합니다. 이런 강세 전망은 종종 BTC의 흐름을 타는 밈 토큰들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쪽에서는 M과 IP 같은 톱 퍼포머들이 인상적인 상승을 보였다고 지적합니다. 이들 코인은 전형적인 패턴을 보이는데, 급등 후 일부 조정, 그리고 재차 매수세 유입입니다. 밈 토큰에 관심이 있다면 변동성이 큰 토큰들에서 유사한 셋업을 주시하세요 — 다음 펌프에서 비슷한 이익을 재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러티브 요약에서는 전반적으로 시장이 평탄하며 CEX와 Oracles 같은 섹터는 소폭 상승, 반면 DeSci는 타격을 받았다고 평합니다. 중요한 점은 아직 알트시즌이 도래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BTC 도미넌스가 여전히 높기 때문입니다. 밈 토큰 사냥꾼들에게는 BTC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진입 타이밍을 잡는 것이 다음 큰 물결을 타는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Resolv Labs 같은 프로토콜에 바이백이 중요한 이유
다음 섹션은 Resolv Labs의 바이백 프로그램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이는 토큰 이코노미에 있어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Resolv는 수익을 창출하는 스테이블코인인 USR과 레버리지 플레이용 RLP를 발행하며, ETH 스테이킹과 펀딩 수수료에서 수익을 얻습니다. 에어드랍 이후 TVL이 하락한 뒤, 그들은 주간 수수료의 75%를 사용한 바이백을 도입했으며 — 이미 226,000달러 이상이 누적되었습니다.
바이백은 공급을 줄이고 신뢰를 쌓으며 생태계 성장을 위한 토큰을 확보해 줍니다. 이 글은 Fluid와 Raydium 같은 프로토콜에서 영감을 얻어,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리밋 오더 같은 스마트한 전략을 제안합니다. 밈 프로젝트에게 이는 중요한 상기사항입니다: 강력한 토크노믹스, 특히 바이백은 초기 런치 이후에도 과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더 깊이 알고 싶다면 Raydium 창립자의 바이백 관련 생각을 확인해 보세요.
Pear 프로토콜 구축기: 아이디어에서 밈 트레이딩 강자로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hufhaus9의 창업자 코너로, Pear Protocol의 여정을 상세히 담고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에서의 번거로운 페어 트레이딩에 대한 불만에서 출발한 Pear는 수백 자산에 걸친 롱-숏 트레이드를 위한 분산형 플랫폼으로 진화했습니다.
초기에는 약세장 자금 조달과 팀 변동 같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MVP 론칭과 사용자 피드백 같은 승리가 그들을 앞으로 나아가게 했습니다. 현재 GMX 같은 통합과 의도 기반 엔진을 통해 Pear는 1클릭 트레이드, 고급 차트, 손익(PnL) 추적을 지원합니다. 향후에는 더 빠른 체결을 위한 Hyperliquid과 구조화 상품도 계획 중입니다.
밈 토큰 팬에게 Pear는 페어 트레이딩 시나리오에서 빛을 발합니다 — 예를 들어 BONK을 롱하고 PUMP을 숏하거나 그 반대로 포지션을 잡아 변동성을 헤지할 수 있습니다. 창업자는 빌더들에게 신생 플랫폼에 초기에 베팅하되, 진짜 필요할 때만 토큰을 출시하라고 조언합니다. 밈을 트레이딩한다면 Pear Protocol이 새로운 우위가 될 수 있습니다.
ARB Corner: Arbitrum 프로젝트 스포트라이트
크로니클은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통해 밈 문화와 자주 교차하는 Arbitrum 생태계의 신생 프로젝트들을 조명합니다. 하이라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Alloc8: 유동성 관리를 자동화하는 에이전틱 프로토콜로, 24/7 시장을 스캔해 최적의 포지션을 찾습니다. 펌프를 앞서가는 밈 유동성 제공자에게 적합합니다.
- DeriW: CoinW가 지원하는 고속 L3 파생상품 플랫폼으로 100배 레버리지와 제로 가스비를 제공합니다. 변동성 큰 밈에 레버리지 베팅을 하기에 이상적입니다.
- Footium: 시즌 11에 진입하는 온체인 축구 전략 게임으로, 재미있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와 밈 연계 가능성이 있습니다.
- Variational: 소매 및 프로 버전을 갖춘 맞춤형 파생상품 인프라로, 밈 페어를 포함한 맞춤형 트레이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US 재무부 채권을 토큰화하는 ULTRA 같은 RWA(Real-World Assets)에 대한 버즈가 있는데, 이는 밈 생태계에 안정적인 뒷받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추천 읽을거리 및 마무리 생각
마지막으로 이번 호는 @0xINFRA, @MiyaHedge, @PixOnChain 같은 Castle 및 커뮤니티 인사들의 필독 콘텐츠를 큐레이션합니다. 인프라 업데이트부터 헤지 전략까지, 암호화폐 환경에서 예리함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내용들입니다.
Matt가 @schizoxbt에게 바통을 넘기면서 크로니클이 어떻게 진화할지 기대됩니다. 밈 인사이더들에게 이번 호는 거시적 트렌드, 프로토콜 혁신, 트레이딩 도구의 조합이 당신의 플레이를 증폭시킬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더 깊이 보고 싶다면 Castle Chronicle #136 전문을 방문하고 @castle_labs를 팔로우하세요. 밈 페어에서 Pear는 게임 체인저일까요, 아니면 과대광고일까요? 의견을 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