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BMNR의 상반된 MNAV 대시보드가 드러낸 TradFi의 뿌리 깊은 문제들

$BMNR의 상반된 MNAV 대시보드가 드러낸 TradFi의 뿌리 깊은 문제들

빠르게 변하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투명성이 왕이어야 할 시점에, Dragonfly Capital의 매니징 파트너 Haseeb Qureshi의 최근 트윗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는 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Inc.의 티커인 $BMNR의 보고된 Market Net Asset Value(MNAV)에서 웃기면서도 우려스러운 불일치를 지적했습니다. 배경을 모르는 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BMNR는 공개 상장사로서 대대적으로 이더리움(Ethereum) 재무로 전환해 187만 개가 넘는 ETH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수십억 달러에 달합니다. MicroStrategy의 ETH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전통 투자자들이 주식을 통해 암호화폐에 노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Haseeb의 트윗은 세 개의 서로 충돌하는 대시보드를 강조하는데, 이들 대시보드는 본질적으로 회사 자산의 시장 가치가 실제 가치에 대해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보여주는 MNAV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비율이 1보다 크면 프리미엄, 1보다 작으면 디스카운트로 거래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단순한 버그가 아니라, 온체인으로 검증 가능한 자산을 다루는 상황에서도 TradFi 시스템이 얼마나 분절되고 신뢰하기 어려운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냅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Blockworks_의 첫 번째 대시보드는 MNAV를 0.95x로 표시해 $BMNR가 약간 저평가되어 있다고 암시합니다.

Blockworks 대시보드가 $BMNR MNAV 0.95x를 표시

다음으로 @fabdarice의 StrategicEthReserve 대시보드는 이를 1.11x로 책정해 소폭의 프리미엄을 나타냅니다.

StrategicEthReserve 대시보드가 $BMNR MNAV 1.11x를 표시

마지막으로 @moonfarm_eth의 "bmnr rocks" 대시보드는 낙관적으로 1.18x로 평가합니다.

bmnr rocks 대시보드가 $BMNR MNAV 1.18x를 표시

이 차이들은 데이터 소스의 차이, 업데이트 빈도, 혹은 계산 방식의 차이(예: ETH 외에 BTC 보유액을 포함하는지, 현금 준비금과 부채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등)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예컨대 @fabdarice의 한 답글은 그들의 대시보드가 일부 지표에 대해 8월 말 기준 데이터와 9월 초 기준 데이터를 혼용하고 있으며 부채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런 혼란은 블록체인의 핵심 매력 중 하나인 '모든 것이 온체인에 있고 검증 가능하다'는 점을 되새기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radFi 도구들이 이를 해석하려 들면 이런 어지러운 결과가 나오곤 합니다. Haseeb가 결론지은 대로, "확실히, TradFi는 망가졌다."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각자 선호하는 대시보드를 옹호하는 반응부터 웹3가 기존 금융의 균열을 드러낸다는 농담까지 다양한 반응을 쏟아냈습니다.

밈 토큰 애호가들과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번 사례는 중요한 경고입니다. $BMNR처럼 겉보기에는 "진지한" 자산도 이런 불일치가 투기를 부추기면 밈화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최근 PR Newswire의 보도에 따르면, $BMNR는 거대한 ETH 보유고로 세계 최대의 ETH 재무이자 전체 암호화폐 재무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를 기록하고 있어(일별 평균 거래액 64억 달러로 10위권의 유동성 보유 미국 주식이라고 소개됨) 전통 시장에 암호화폐가 침투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밈 토큰을 추적하거나 온체인 재무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는 사람이라면, $BMNR을 지켜보는 것은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런 MNAV 변동이 지속된다면 거래 기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분야가 진화함에 따라 일관되며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를 제공하는 도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그때까지는 이런 사건들이 대화를 활발하게 만들고 TradFi와 DeFi 간의 더 나은 통합을 촉구하는 역할을 하겠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이것이 성장통의 신호일까요, 아니면 더 깊은 구조적 문제일까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