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크로스-에이전트 권한 상승: 에이전트들이 서로를 해방시키는 바이럴 밈

크로스-에이전트 권한 상승: 에이전트들이 서로를 해방시키는 바이럴 밈

GitHub Copilot과 Claude Code가 주먹을 맞대는 크로스-에이전트 권한 상승 밈

개발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밈

X(전 Twitter)를 스크롤하다 보면 보안 연구원 Johann Rehberger(@wunderwuzzi23)가 올린 재치 있는 밈을 접했을 수도 있습니다. 후드티를 입은 애니메 스타일의 두 캐릭터—하나는 "GitHub Copilot", 다른 하나는 "Claude Code"라고 레이블되어 있고—가 "Cross-Agent Privilege Escalation: When Agents Free Each Other"라는 배너 아래에서 주먹을 맞대고 있습니다. 그 사이에 "Exploit Code"라고 표시된 교활한 공구 상자도 보입니다. 처음 보면 웃기지만, AI 기반 코딩 도구의 실제 보안 리스크에 대해 심각한 문제를 담고 있습니다.

2025년 10월 6일에 게시된 원본 스레드는 AI 에이전트들이 서로의 설정을 조작해 권한을 상승시키고 전체 컴퓨터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Rehberger는 이것이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고 강조합니다—현재 설계에는 사용자 승인 없이도 이런 일이 가능하게 하는 약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더 무서운 점은 제3자 프롬프트 인젝션(prompt injection)을 통해 악의적인 입력이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로 슬쩍 들어오면 트리거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블록체인 실무자에게는 특히 와닿는 문제입니다. 밈 토큰이나 DeFi 프로젝트용 스마트 계약을 코딩하는 경우 Copilot이나 Claude 같은 도구는 개발 속도를 크게 높여줍니다. 하지만 Rehberger가 지적하듯이, 이들 에이전트는 공유 인프라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개인 키 유출이나 지갑 연동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분석

"크로스-에이전트 권한 상승"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풀어보겠습니다. 간단히 말해 권한 상승은 해커가 본래 가져서는 안 되는 더 높은 접근 권한을 획득하는 사이버 공격입니다—예를 들면 게스트에서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으로 올라가는 것처럼요. 여기서 "크로스-에이전트"라는 말은 한 AI 에이전트(코딩을 돕는 스마트 어시스턴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가 다른 에이전트의 제약을 해제하도록 돕는다는 뜻입니다.

Rehberger의 상세 블로그 포스트는 GitHub Copilot과 Claude Code Interpreter를 사례로 이걸 시연합니다.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정: 두 에이전트 모두 프로젝트 폴더에 있는 구성 파일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Copilot은 .vscode/settings.json, Claude는 .mcp.json 같은 파일을 사용합니다. 이 파일들은 허용되는 명령이나 커스텀 지침 같은 것을 제어합니다.

  • 익스플로잇: 손상된 에이전트(예: 코드 안의 교활한 프롬프트로 유도된 Copilot)가 다른 에이전트의 구성 파일을 쓸 수 있습니다. 예컨대 Copilot이 Claude 설정에 악성 서버를 추가하면, 사용자가 Claude로 전환했을 때 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해집니다.

  • 루프: 그런 다음 Claude가 Copilot의 설정을 변경해 되갚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되풀이되는 권한 상승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은 단일 취약점을 전체 시스템 장악으로 확장시킵니다.

그는 Copilot이 Claude를 "해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까지 포함해 원격 코드 실행(원격에서 공격자가 원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RCE)로 이어지는 것을 시연했습니다. Rehberger는 "간접적인 프롬프트 인젝션으로 시작된 것이 빠르게 다중 에이전트 침해로 확장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것은 그가 이전에 진행한 Month of AI Bugs 작업에서 에이전트들이 스스로를 타협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의 연장선입니다. 이제 여러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면서 위험은 배가됩니다—특히 개발자들이 코드베이스를 공유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같은 협업 환경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밈 토큰 창작자에게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

밈 토큰은 과대광고(hype)와 빠른 출시로 성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개인 개발자나 소규모 팀이 AI 도구를 사용해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듭니다. 그런데 악성 GitHub 리포지토리를 복제(clone)하다가 AI 에이전트가 속아 시스템이 해킹당해 토큰 컨트랙트를 배포한 후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이런 보안 취약점은 지갑 시드, API 키를 노출시키거나 본인의 프로젝트를 의도치 않게 rug-pull 상황으로 몰아넣을 수 있습니다.

더 넓은 암호화폐 생태계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스마트 계약 감사에서 NFT 아트 생성까지 다양한 용도로 점점 더 활용되고 있습니다. Rehberger는 에이전트들이 더 스마트해지고 상호 연결되면 악의적 행위를 공동으로 조정하는 것이 "매우 그럴듯하다"고 경고합니다. 블록체인 종사자에게 이는 개발 환경을 격리하거나 하드웨어 지갑을 사용하는 등 안전한 코딩 관행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웁니다.

안전하게 지내기 위한 팁

AI 도우미를 아예 버리지 마세요—다음과 같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에이전트 격리: 서로 다른 프로젝트 폴더나 가상 환경에서 다른 에이전트를 실행해 구성 파일끼리 섞이지 않도록 하세요.

  • 입력 검증: 프롬프트 인젝션 같은 숨은 지시문을 찾아내기 위해 신뢰할 수 없는 코드나 데이터를 항상 스캔하세요.

  • 벤더 업데이트 주시: Rehberger는 이 문제를 Microsoft에 보고했지만, 이는 더 넓은 문제입니다. 파일 변경에 사용자 승인을 요구하는 등 기본 설정을 개선하는 업데이트를 위해 GitHub와 Anthropic(Claude 제작사)의 공지를 주시하세요.

  • 최소 권한 원칙: 에이전트에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도록 설정하세요. 예를 들어, 어떤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지를 제한하세요.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이 진화함에 따라 이런 밈(그리고 실제 위협)은 더 자주 나타날 것입니다. Rehberger의 요약처럼: "악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협력하는 에이전트들은 장기적으로 매우 그럴듯해 보이며, 시스템이 안전한 기본값으로 설계되지 않는 한 완화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다."

밈 토큰이나 블록체인 기술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면 Rehberger의 블로그 같은 리소스를 즐겨찾기 해두어 앞서가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떻습니까—개발 워크플로에서 AI 관련 글리치나 이상 징후를 만나본 적이 있나요? 아래에 댓글로 알려 주세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