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세계는 밈 토큰이 하룻밤 사이에 급등하거나 순식간에 폭락하는 등 야생의 무대다. 그런 가운데 @0xWives가 X(구 Twitter)에 올린 최근 스레드는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해당 게시물은 답답한 현실을 지적한다. 그가 "사기꾼(snake oil salesmen)"이라 부르는 사람들에게 수억 달러가 쏟아지는 동안, 소음 속에서 묵묵히 일하는 진짜 팀들은 토큰을 1,000만 달러 시가총액 위로 끌어올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내러티브가 기술을 눌러버리는 밈 토큰 분야에서 크립토가 얼마나 망가져 보일 수 있는지를 상기시킨다.
원문 게시물(2025년 11월 4일 공유)은 이렇게 적혀 있다: "The amount of snake oil salesmen that people will give 100’s of millions of dollars to astonishes me. Meanwhile there are legit teams building through all the bull shit and their tokens never get above 10 mill marketcaps. Crypto really broken." 원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감정은 밈 토큰 커뮤니티에서 깊이 공감된다. 도지코인(Dogecoin)이나 시바 이누(Shiba Inu)처럼 농담으로 시작했지만 바이럴 마케팅과 유명인사 지지 덕분에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프로젝트들을 생각해 보라. 반면 AI 통합 DeFi 솔루션이나 커뮤니티 중심의 유틸리티 같은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은 무명의 늪에서 허우적거린다. 이유는 무엇일까? @TasteKzn의 답변처럼 "핵심은 마케팅이야. 사람들은 항상 제품 자체를 신경 쓰지 않아,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신경 쓰지"라는 말이 핵심을 찌른다.
@warrenbuffed도 비슷한 말을 덧붙인다: "yeah, some projects market themselves based on 0 fundamentals and some projects have huge fundamentals but 0 marketing." 고전적인 불균형이다. 밈 토큰에서는 가치가 종종 기저 기술보다는 커뮤니티의 하이프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 격차가 더 도드라진다. 진짜 빌더들은 코드, 감사를 비롯해 실사용 사례에 집중하지만, 세련된 마케팅 기계가 없으면 소음에 묻혀버린다.
@ogiberstein도 끼어들며 이것이 암호화폐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It's not just crypto tbh - same shit happens in tradfi and web2 just less visible." 맞는 말이다—전통 금융에도 과대평가된 주식들이 있고, web2 스타트업들도 버즈만으로 성공하곤 한다. 그러나 블록체인에서는 투명성(혹은 투명성의 부족)이 문제를 증폭시킨다. 스마트 계약은 공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검증되지 않은 프로젝트의 문샷 약속에 몰려든다.
@everythingempt0의 "we must chnage this"(철자 오류 포함) 같은 답글은 행동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0xWives도 동의한다. 다른 이들은 특정 프로젝트를 언급하기도 한다. @mlg360420는 $INDEXY를 "재평가가 필요한 좋은 사례"로 지목하고, @spellcrypto는 $ANYONE을 지원할지 묻는다. 이런 언급들은 커뮤니티가 혼란 속에서 저평가된 보석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음을 보여준다.
밈 토큰에 뛰어드는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 스레드는 경종이다. 기본에 집중하라: 검증된 실적이 있는 팀, 투명한 로드맵,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찾아라. CoinMarketCap이나 DexScreener 같은 도구는 잠재력 있는 저시가 토큰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AI 기반 트레이딩 봇과 DeFi 프로토콜이 지배하는 공간에서는 기술과 스마트한 마케팅을 결합하는 것이 그 $10M 장벽을 깨는 열쇠가 될 수 있다.
Meme Insider에서 이러한 트렌드를 계속 추적해본 결과, 암호화폐 생태계는 빌더들에게 더 많은 조명이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당신이 빌드하거나 투자하고 있다면, 화려함보다 실체를 우선시하라—그것이 어쩌면 '망가진' 부분을 고치는 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