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하는 밈코인 세계에서는 몇 분 만에 재산이 오가기도 합니다. 최근 Bubblemaps의 한 트윗이 암호화폐의 어두운 면에 대한 대화를 촉발했습니다. 해당 게시물은 Bubblemaps의 CEO인 Nick Vartanian(일명 @nickybubbly)이 진행자 Laura Shin과 나눈 Unchained 팟캐스트의 충격적인 인터뷰를 강조합니다. 인터뷰에서는 내부자들이 어떻게 일반 트레이더들의 손해를 보며 계속 이익을 챙기는지가 드러납니다. 일부 밈코인 론칭이 왜 조작된 것처럼 느껴졌는지 궁금했다면, 이 대화가 그 베일을 걷어냅니다. 원본 트윗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내부자 플레이북: Sniping과 Dumping 전술
Nick은 내부자들이 출시 시점에 토큰을 "snipe"하기 위해 어떻게 우위를 사용하는지 설명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sniping이란, 일반 대중이 토큰이 라이브인지조차 모를 때 대량으로 신규 토큰을 사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 전문가들은 블록체인 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컨트랙트 배포를 포착하고 대규모 매수로 즉시 진입합니다—종종 시드머니를 모아 초반 시장을 장악하죠.
그들이 쓰는 교활한 트릭 중 하나는 one-sided LPs입니다. 간단히 말해, liquidity pool은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토큰을 교환하는 거래 공간입니다. 보통은 균형이 맞지만, 내부자들은 buys를 흡수하도록 one-sided LP를 설계하고 은밀히 보유 토큰을 팔아치웁니다. 이것은 Dex Screener 같은 툴의 가격 차트에서는 덤핑을 숨겨, 토큰이 펌핑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실제로는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는 거죠.
유명인 밈코인 조명: Trump, Melania 등
대화는 대통령 테마 코인 같은 유명 사례로 깊게 들어갑니다. Donald Trump 밈코인은 겉보기엔 합법적으로 보였고, 온체인 분배가 약속된 토크노믹스와 일치해 커뮤니티의 칭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며칠 뒤 출시된 Melania Trump 토큰은 문제 신호를 보였습니다. Bubblemaps의 시각화 도구를 이용해 Nick은 지갑 분포의 불일치를 발견했고, 이를 Hayden Davis와 그의 회사 Kelsier Ventures와 연결했습니다. 증거는 연결된 지갑들을 통한 조직적 sniping을 가리켰고, 내부자들이 큰돈을 현금화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다음은 Libra 토큰 스캔들입니다. Hayden Davis는 연결된 지갑을 통해 언락된 공급의 80%를 통제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 one-sided LPs로 1억 달러를 챙긴 것으로 보입니다. Interpol 적색 수배가 내려진 뒤에도 판사는 그의 자산 중 5,700만 달러를 해제했고, 이는 암호화폐의 법적 그레이존이 어떻게 악행자를 풀어주는지를 보여줍니다. Nick은 이를 암호화폐에서 느껴지는 "crime is legal" 분위기라고 부릅니다—집행은 블록체인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합니다.
Kanye West와 연관된 Yeezy 토큰도 잊지 마세요. 팀은 snipers를 혼란시키기 위해 50개의 가짜 컨트랙트를 배포했지만, Davis와 연결된 지갑은 진짜 컨트랙트를 찾아 약 1,200만 달러를 챙겼습니다. 7만 명의 트레이더 중 약 6만 명이 손해를 봤고, 수익은 처음 10분에만 가능했습니다. 늦게 들어온 사람들은 "exit liquidity"가 되었는데, 이는 내부자들의 이익을 메워준 자금이라는 의미입니다.
악역들: Sahil Arora와 Sniper Syndicates
Nick은 이름을 가리지 않습니다. "crypto villain"으로 불리는 Sahil Arora는 Jason Derulo 같은 유명인들에게 홍보 트윗 대가로 큰 돈을 주고, 그 뒤 팬들 앞에서 대부분의 공급을 덤핑합니다. 이는 스타 파워로 과대홍보한 뒤 내부자들이 빠져나가는 전형적인 pump-and-dump입니다.
sniper 쪽에서는 Naseem(또는 Nasim)과 Sahil 같은 이들이 syndicate를 구성해 론칭 정보에 대한 팁을 사고, 높은 gas fees를 써서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 나갑니다. Naseem은 Trump 토큰에서 100만 달러를 1억 달러로 불렸고, 우선순위를 위해 7만 달러의 수수료를 썼다는 보고도 있습니다—명백한 내부 정보의 징후입니다.
심지어 Justin Sun 같은 큰 이름도 WLFI에서 10배 수익을 냈다는 지적을 받으며, 연결된 플레이어들이 리테일이 놓치는 기회를 포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왜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가와 해결 방안
트윗이 정확히 짚어냅니다: "우리는 같은 사기를 계속 폭로하지만,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내부자들, snipers, 유명인 토큰은 악순환을 형성하며 모두가 저절로 멈추길 바라고 있습니다. 예상 스포일러: 멈추지 않습니다. 전통적 법 집행은 글로벌하고 빠른 암호화폐 환경을 쫓아가기 힘들어 처벌 회피의 느낌을 남깁니다.
Nick의 해결책은? 업계 스스로가 감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원자가 오지 않는다"는 말이죠. Bubblemaps는 Intel Desk라는 공개 데이터베이스로 나서고 있습니다—그들의 $BMT 토큰으로 구동되는 플랫폼입니다. 이를 온체인 스캔들에 대한 위키피디아 같은 것으로 생각해 보세요. 악성 행위자와 사건을 추적해 책임을 만들려는 시도입니다. 데이터를 시각적 인사이트로 바꾸면 스캠들이 숨기기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마무리: 밈 토큰 애호가들을 위한 교훈
밈코인에 관심이 있다면 이 인터뷰는 반드시 들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게임이 리테일에게 불리하게 짜여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더 나은 도구와 커뮤니티 감시를 통해 희망도 준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Bubblemaps는 원래 지갑 클러스터를 시각화하는 Nick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사기와 맞서 싸우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Unchained 팟캐스트를 YouTube나 Spotify에서 확인하세요. 그리고 기억하세요, 암호화폐에서 DYOR(do your own research)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라 생존 방식입니다. 정보를 갖추고, 안전하게 행동하세요. 어쩌면 다음번에는 내부자들이 당신을 발견하기 전에 당신이 그들을 발견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