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화하는 탈중앙화 금융(DeFi) 세계에서 루핑은 수익을 증폭하는 인기 전략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종종 의문을 불러일으킵니다—왜 누군가 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 루핑하는 자산을 빌릴 때, 스테이블코인을 더 낮은 금리로 빌려주겠는가? Kamino 공동창업자 Marius는 최근 X의 스레드에서 이를 주니어와 시니어 자본의 간단한 비유로 풀어 설명했습니다. 이제 이 비유와 그 뒤의 메커니즘을 풀어봅시다.
루핑은 초보자에게 말하면 담보를 잡아 더 같은 자산을 사기 위해 빌리는, 즉 포지션에 레버리지를 걸어 수익을 높이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연 7%를 버는 수익형 토큰을 예치하고, 5%로 스테이블코인을 빌려 그 토큰을 더 사는 상황을 상상해보세요. 표면상으로는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한 명백한 선택처럼 보이지만, Marius는 세 가지 흔한 질문을 정면으로 다룹니다.
첫째, 왜 7% 토큰을 루핑하는 사람에게 스테이블코인을 5%로 빌려주나? 핵심은 리스크 배분입니다. 대출자는 전통 금융에서의 시니어 자본처럼 행동합니다—먼저 보상을 받고 손실에 대해 완충 역할을 가집니다. 반면 차입자, 즉 루퍼는 주니어 자본으로서 상황이 악화되면 초기 손실을 흡수합니다.
둘째, 왜 그냥 그 7% 토큰을 직접 사서 보유하지 않나? 직접 매수·보유하면 자산의 가격과 수익률 변동에 직접 노출되지만, 레버리지로 인한 청산 위험은 없습니다. 루핑은 상승과 하락 모두를 증폭시키므로 개인의 리스크 선호도에 달려 있습니다.
셋째, 80% LTV(loan-to-value)를 가정해 5배 레버리지로 직접 루핑해 연 15% 수익을 얻지 않겠느냐는 질문도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레버리지는 리스크를 증폭합니다. 높은 LTV에서는 작은 가격 하락만으로도 청산이 발생해 포지션이 전부 정리될 수 있습니다.
Marius의 핵심 통찰은 손실 흡수 메커니즘입니다. 만약 발행자 문제 등으로 수익 토큰 가치가 10% 훼손되면 가격이 그만큼 하락합니다. 청산자들이 개입해 루퍼의 담보를 팔아 대출자에게 변제합니다. 손실이 청산 버퍼(1 minus LLTV) 범위 안에 있는 한 대출자는 전액 회수할 수 있습니다. 즉 루퍼가 우선적으로 손실을 떠안아 대출자를 보호하고, 훼손이 그 버퍼를 초과할 때까지 대출자는 손실을 보지 않습니다.
이 구조는 양측이 수익 토큰에 대한 신용위험을 공유한다는 의미지만, 초기에 손실을 떠안는 것은 루퍼입니다. 대출, 직접 매수·보유, 또는 루핑 중 선택은 잠재적 손실에 대한 관점과 수익 스프레드에 대한 판단에 달려 있습니다. utilization rates, slippage, liquidation bonuses 같은 요소들이 추가적인 변수를 제공하지만, 핵심은 대출자에게 안전성을 우선시하는 설계입니다.
스레드의 답글들도 이런 뉘앙스를 반영합니다. 한 사용자는 수익 스프레드가 때때로 대출자에게 돌아오는 위험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다른 사용자는 USDC와 같은 자산의 유동성을 어떻게 모니터링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특히 Solana 위에 구축된 Kamino 같은 플랫폼에서 지속되는 DeFi 내부의 활발한 토론을 보여줍니다.
밈 토큰이나 안정적 수익을 노리는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 역학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루핑은 강세장에서 수익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지만 높은 경계심을 요구합니다. DeFi가 진화함에 따라 이런 전략들은 혁신과 리스크 관리가 결합된 방식을 드러냅니다. Solana DeFi에 뛰어든다면, 이와 같은 스레드는 지식 기반을 쌓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