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fast-paced world of crypto trading, staying ahead means leveraging the latest tools. Recently, popular X user DegenApe99 highlighted EVFarm, a innovative trading bot from EVPlus.ai, that's making waves among degen traders. This bot focuses on funding rate arbitrage, a strategy particularly useful for volatile assets like meme tokens. Let's break down what this means and why it's buzzing in the community.
EVFarm은 무엇인가?
EVFarm은 perpetual futures 계약(perps)을 제공하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전반에서 포지션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된 자동화 거래 봇입니다. Perpetual futures는 만기일이 없는 파생상품으로, funding rate는 이들 가격을 현물 시장과 맞추는 메커니즘입니다. 이 funding rate는 몇 시간마다 롱과 숏 포지션 사이에서 교환되는 지급입니다.
이 봇은 24/7 자동으로 작동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리스크 허용치와 시장 전망에 따라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트윗에 공유된 인터페이스를 보면 교차 거래소(예: Lighter와 Hyperliquid) 설정, USD 기준 기본 포지션 가치, bullish ratio, stop-loss/take-profit(SLTP) 거리, 최소 보유 시간, 최소 funding rate 스프레드 같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VFarm은 어떻게 작동하나?
핵심적으로 EVFarm은 동일 자산의 두 DEX perps 간 funding rate 차이를 이용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수집: 봇은 선택한 거래소들의 funding rate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포지션 취하기: 스프레드가 충분히 크면 funding rate가 낮거나 음수인 거래소에서 롱을 잡고, funding rate가 높은 쪽에서 숏을 잡습니다. 이렇게 하면 delta-neutral 포지션이 형성되어 가격 변동에 대해 헤지되면서도 funding 지급에서 이익을 얻습니다.
- 커스터마이징: 시장 관점이 있다면 bullish ratio(예: 중립은 0.5)를 설정해 포지션을 약간 기울일 수 있습니다. SLTP 간격은 밈 토큰에서 흔한 극심한 변동성으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 자동화: 한 번 설정하면 진입, 청산, 재시작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이 전략은 밈 토큰에 이상적입니다. 밈은 과대광고와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해 Hyperliquid나 Lighter처럼 밈이 상장된 플랫폼 간에 funding rate 불균형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왜 밈 트레이더들이 열광하나
밈 토큰은 커뮤니티의 열기와 빠른 가격 변동으로 성장하지만, 트레이딩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EVFarm은 이러한 변동성을 수동적인 기회로 바꿔 funding rate를 파밍하게 해 줍니다. 차트를 계속 볼 필요 없이 설정해두면 봇이 알아서 실행합니다. DegenApe99의 트윗이 암시하듯, 전업으로 관여하지 않으면서 꾸준한 수익을 노리는 degens에게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EVPlus.ai의 게시물에 따르면, 봇은 특정 페어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잔액과 거래에 대한 TG 알림 같은 기능으로 지속적인 감시 없이도 상태를 알려줍니다.
EVFarm 시작하기
관심이 있다면 app.evplus.ai/evfarm으로 가서 대시보드를 확인해 보세요. 이런 자동화 도구가 전략을 보완해줄 수는 있지만, 암호화폐 거래에는 항상 위험이 따릅니다—항상 스스로 조사하고 소액으로 시작하세요.
이 논의를 촉발한 원문 공유는 DegenApe99의 트윗을 확인하세요. 여러분 생각은 어떻습니까—EVFarm이 밈 토큰 트레이딩 키트의 필수 요소가 될까요?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