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DOJ, 비수탁(non-custodial) 암호화폐 개발자에 대한 기소 부인 명확화: Roman Storm와 밈 토큰에 미치는 영향

DOJ, 비수탁(non-custodial) 암호화폐 개발자에 대한 기소 부인 명확화: Roman Storm와 밈 토큰에 미치는 영향

최근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흔들고 있는 트윗에서, 저명한 암호화폐 변호사이자 Variant Fund의 최고법무책임자(Chief Legal Officer)인 Jake Chervinsky는 DOJ 형사부장(Head of the DOJ's Criminal Division)의 중요한 발언을 인용했습니다. 그 정책은? 사용자 자산에 대한 보관(custody)이나 통제(control)를 가지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Section 1960(b)(1)(C)로 기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발언은 Tornado Cash가 대표적인 분산 소프트웨어 사례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Roman Storm 사건 직후 나왔습니다.

Chervinsky의 글은 Coinbase의 최고법률책임자 Paul Grewal의 입장을 인용합니다: "Where 'software is truly decentralized and solely automates peer-to-peer transactions, and where a third-party does not have custody and control over user assets, new 1960(b)(1)(C) charges against the third-party will not be approved.'" Chervinsky는 Storm의 사례가 이 설명에 완벽히 들어맞는다고 지적하며 불일치를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그의 요구는 분명합니다: "Roman에 대한 정의는 이 사건을 취하하는 것이다."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 Section 1960(b)(1)(C)는 미국의 자금 전송 관련 법조항의 일부로, 무허가 자금 서비스업체를 단속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암호화폐 분야에서는 거래 흔적을 은폐하는 mixer와 같은 프로토콜의 개발자를 겨냥하는 도구로 활용돼 왔습니다. Ethereum 기반의 mixer인 Tornado Cash는 송신자와 수신자 주소 간의 연결을 끊어 프라이버시를 제공하지만, 자금세탁에 악용될 가능성 때문에 논란이 되었습니다.

Storm의 유죄 판결은 블록체인 업계에서 뜨거운 쟁점이었습니다. 검찰은 Tornado Cash가 자금세탁을 용이하게 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프로토콜은 중앙 통제 없이 스마트 계약으로 자율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이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Chervinsky를 포함한 비평가들은 이것이 과도한 권한 행사라고 보고, 다른 사람이 오용할 가능성만으로 코드를 작성한 개발자들을 처벌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봅니다. 이제 DOJ의 입장 전환이 사실이라면 의문이 생깁니다: Storm 사건이 재검토될 것인가? 항소가 성공할 가능성은 있는가?

밈 토큰 생태계—Meme Insider가 주력하는 분야—로 시야를 넓히면, 이번 발전은 판도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밈 토큰은 분산형 거래소(DEX)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창작자들이 코드를 배포한 뒤 물러나 커뮤니티가 운영을 이어가는 구조에서 번성합니다. Dogecoin 같은 바이럴 성공 사례나 최근의 Solana 기반 밈들을 생각해보세요; 많은 개발자들이 출시 이후 통제권을 유지하지 않음으로써 규제 위험을 피하려 합니다.

만약 DOJ가 이 비수탁(non-custodial) 예외를 고수한다면, 프라이버시 중심 런치패드나 익명 트레이딩 봇 같은 밈 토큰 도구의 혁신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것이 밝은 전망만은 아닙니다. 이 정책은 "진정으로 분산된(truly decentralized)" 소프트웨어를 강조하므로, 거버넌스 토큰이나 보유된 admin 키처럼 중앙화의 흔적이 조금이라도 있는 프로젝트는 여전히 조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Tornado Cash가 거버넌스 토큰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이 법적 문제를 불러일으켰다는 주장도 기억해야 합니다.

Chervinsky의 스레드에 달린 답글들도 비슷한 정서를 반영합니다. Grewal 자신도 "💯"로 전적으로 동의함을 표시했습니다. 다른 이들은 프론트엔드 호스팅에 대한 명확성을 요구하며, Uniswap 같은 DEX의 웹사이트를 게시하는 행위조차도 Bank Secrecy Act(BSA)의 의무를 촉발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 사용자는 믹서를 위해 "shitcoins"을 피하라는 농담을 던지며 토큰 발행이 어떻게 상황을 복잡하게 만드는지를 꼬집기도 했습니다.

이건 단순한 법리 다툼이 아닙니다. 오픈 소스 블록체인 개발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밈 토큰은 종종 커뮤니티의 열광과 최소 기능 제품(MVP)에서 태어나며, 개발자들이 안심하고 실험할 수 있어야 생태계가 성장합니다. 규제의 경계가 명확해지면 Storm과 같은 사건으로 인한 위축 효과를 줄여 섹터의 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Meme Insider에서는 이 사안을 계속 주시하고 있으며, DOJ의 공식 메모나 Storm 선고 관련 업데이트를 예의주시할 예정입니다. 그동안 밈 분야에서 개발 중이라면, 진정한 분산화를 우선시하세요—그건 단지 좋은 관행이 아니라 법적 방패가 될 수 있습니다. 규제들이 밈 토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알고 싶다면, 우리의 지식 기반 중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도구를 참고하세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