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2025년 11월 18일 Cloudflare의 장애로 큰 혼선을 겪었다. 선도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인 Cloudflare의 문제가 X(구 Twitter)와 ChatGPT 같은 인기 사이트로의 접근을 끊어 수천 명의 사용자가 서비스 중단을 보고했다. Cloudflare는 조사 중인 "트래픽 급증"을 이유로 꼽았고, 회사는 신속히 운영을 복구했지만 이 사건은 중앙집중식 인프라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여기에 Malbec Labs의 CTO인 Andrew McConnell가 등장해 X에서 자신의 프로젝트 DoubleZero가 이러한 문제에 어떻게 다르게 접근하는지 강조했다. 그의 게시물에서 McConnell은 장애를 언급하며 DoubleZero의 핵심 철학을 강조했다: 사용자에게 트래픽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부여한다는 것. 그는 "If DZ has a bad day, our users can simply turn it off and go about their day,"라고 적으며 Cloudflare처럼 전환이 간단하지 않은 모델과 대조를 이뤘다.
DoubleZero(종종 DZ로 약칭)는 Solana 위에 구축된 분산형 프로토콜로, 블록체인 같은 분산 시스템을 위해 고성능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핵심에는 네트워크 기여자와 사용자를 인센티브화하는 유틸리티 자산인 2Z 토큰이 있다. 다운타임 동안 사용자들을 고립시킬 수 있는 전통적 네트워크와 달리 DZ는 자동화된 페일오버 메커니즘을 통합한다. 즉, DZ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기면 트래픽이 운영을 중단시키지 않고 공개 인터넷으로 원활하게 전환된다.
McConnell의 게시물은 2025년 6월의 이전 데모를 인용한다. 그 비디오에서 그는 DZ의 페일오버 과정을 설명한다. 아키텍처는 프로비저닝을 위한 원장(ledger), 스위치를 구성하는 컨트롤러들, 실시간 업데이트를 처리하는 장치상의 에이전트로 구성된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 인터넷 트래픽 라우팅 표준) 같은 도구를 사용해 그는 에이전트를 비활성화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시뮬레이션한다. 결과는? 패킷 손실 없이 트래픽이 즉시 공개 인터넷으로 우회된다. 에이전트가 다시 활성화되면 시스템은 DZ 라우팅을 복원하는데, 데모에서는 지연 시간이 7밀리초 감소하기도 했다.
밈 토큰 분야에 있는 이들에게 이 점은 특히 중요하다. Dogwifhat나 Bonk처럼 바이럴한 히트작이 많은 Solana는 거래, staking, 커뮤니티 상호작용을 위해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에 의존한다. 밈 토큰은 과열과 초고속 거래에 의해 번성하지만 Cloudflare 같은 중앙지점의 장애는 모멘텀을 멈추게 할 수 있다. DoubleZero는 2Z로 대역폭을 지불하는 형태로 분산형 대안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설계는 복원력을 보장한다. 네트워크 제공자는 자원을 제공해 2Z를 벌고, 이는 밈 코인들의 커뮤니티 주도 정신과 유사한 방식으로 인센티브를 정렬한다.
2025년 10월 mainnet-beta 출시 이후 DoubleZero는 블록체인을 위한 인프라 레이어로 자리매김했으며, 2Z는 초기 변동성 속에서 약 $0.14에 거래되고 있다. 이 토큰의 유틸리티는 지불 수단을 넘어서 거버넌스와 데이터 검증까지 확장되며, 생태계를 묶어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Cloudflare 같은 사건은 사용자 중심의 견고한 솔루션 필요성을 상기시킨다. DoubleZero의 접근법은 단순한 페일오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가치 장거리 경로에 대역폭을 예약하고 지역 트래픽은 공개 인터넷에 남겨두는 전략을 취한다. 이 하이브리드 모델은 Solana 위에서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밈 토큰 개발자들에게는 프로젝트가 넷 전체가 불안정할 때에도 온라인을 유지하도록 돕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밈 토큰이나 블록체인 인프라에 뛰어들 계획이라면 DoubleZero 같은 프로젝트를 주시하는 것이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암호화폐에서는 통제력과 회복력은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