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밈 토큰은 과열과 빠른 출시를 기반으로 성장하지만, 보안 문제는 항상 따라다닌다. 최근 암호화폐 해설가 MartyParty(@martypartymusic)의 트윗은 한 유명 지갑 탈취 사건을 또 하나의 "Ethereum exploit"으로 규정하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밈 토큰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자.
사건 개요: 베테랑 개발자의 아찔한 경험
이 이야기는 업계에서 10년 이상 활동하며 그간 보안 사고가 없던 Zak(@0xzak)으로부터 시작된다. Zak은 상세한 Twitter 스레드(전체 스레드 보기)에서 Cursor AI를 사용하던 중 "contractshark.solidity-lang"이라는 겉보기에는 정식 VS Code 확장을 설치한 뒤 지갑이 털린 과정을 공개했다.
Cursor AI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지능형 코드 제안을 제공하는 Visual Studio Code(VS Code)의 확장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교묘한 서플라이체인 공격을 드러냈다. 악성 확장은 유용한 Solidity 언어 도구로 위장해 Zak의 .env 파일(.env 파일은 개인 키 같은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적인 장소)을 몰래 접근하고 공격자 서버로 전송했다.
지갑 탈취는 설치 후 3일 만에 발생했지만, Zak의 철저한 운영 보안(OpSec) 덕분에 손실은 수백 달러 상당의 ETH에 그쳤다. 그는 소액만 보관하는 분리된 핫월렛을 사용하고 주요 자산은 하드웨어 지갑에 보관하는 등 대비를 해왔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이런 대비가 없었다면 피해는 훨씬 심각했을 것이다.
MartyParty의 주장: 이더리움은 "레거시 인프라"
Zak의 스레드를 인용하며 MartyParty는 거침없이 말했다. "Another @ethereum exploit - same tactics - biggest risk in our industry. Not antifragile. Not meant for production. Rushed. Brittle. Everything a CTO avoids." (원문 트윗). 그는 이더리움 생태계가 급하게 개발되고 취약하며 그래서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잇에 노출되기 쉽다고 주장한다.
"antifragile"은 Nassim Nicholas Taleb이 대중화한 개념으로, 스트레스에서 더 강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취약성의 반대 개념이다. MartyParty는 이더리움이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실무용 프로덕션에는 부적합한 "legacy infrastructure"라고 단정한다. 이런 비판은 밈 토큰들이 종종 Ethereum이나 Base, Arbitrum 같은 레이어2 위에 구축되어 있고, 스마트 컨트랙트의 안전성에 의존해 rug pull이나 익스플로잇을 피하려는 상황에서 크게 울림을 준다.
밈 토큰 참여자에게 왜 중요한가
Dogecoin에서 영감을 받은 강아지 토큰부터 바이럴 고양이 토큰까지, 밈 토큰은 암호화폐의 황야와 같다. 빠르게 출시되는 특성상 VS Code의 Solidity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공격 표적이 되기 쉽다. 만약 밈 토큰 제작자가 해킹을 당하면 유동성 풀의 고갈, 자금 유출, 출시 손상 등으로 이어져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
이번 사건은 밈 토큰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더 넓은 리스크를 강조한다:
- 서플라이체인 공격(Supply Chain Attacks): 악성 확장이나 패키지(예: 가짜 "solsafe" npm 패키지)가 개발 환경에 탐지되지 않은 채 침투할 수 있다.
- 성급한 개발(Rushed Development): 밈 코인은 트렌드를 노리고 속도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어 Zak이 당한 'rush to ship' 상황을 반복할 위험이 있다.
- OpSec의 필수 요소: 밈 토큰 제작자는 하드웨어 지갑(e.g., Ledger 또는 Trezor) 사용, 키를 .env 파일에 보관하지 않기, GitHub 저장소를 통해 확장 검증하기 등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Zak의 스레드에는 code --list-extensions
같은 명령으로 확장을 감사(audit)하는 방법과 비밀을 암호화된 금고로 옮기는 등의 실용적인 조언이 담겨 있다. 밈 토큰 트레이더들에게도 Revoke.cash 같은 도구로 토큰 승인 권한을 정기적으로 취소하고, 감사(audited)된 프로젝트에만 참여하라는 경고가 된다.
교훈과 앞으로의 대비
MartyParty의 이더리움에 대한 강한 비판은 체인 전쟁(chain wars)을 촉발할 수 있다—Solana 지지자들은 종종 자국 체인의 속도와 복원력을 대안으로 내세운다—하지만 이번 해킹은 특정 체인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확장은 Solidity 개발자를 노렸지만, 유사한 취약점은 다른 생태계에도 존재한다.
밈 토큰 세계에서는 커뮤니티와 바이럴이 가치를 좌우하므로 실패에 대한 투명한 공유가 회복력을 키운다. Zak이 당황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경험을 공유한 것은 모두가 보안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준다. 밈 인사이더로서 우리는 이런 위협에 경계심을 유지함으로써 ‘펀(fun)’과 ‘펀더멘털(fundamentals)’을 공존시킬 수 있다.
밈 토큰을 개발하거나 거래하고 있다면 오늘 한 번 자신의 환경을 점검해보자. 결국 암호화폐에서는 약간의 불안감이 오히려 도움이 된다. 조심히 지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