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하는 밈 토큰 세계에서는 바이럴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제안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Virtuals.io의 핵심 기여자인 EtherMage는 X(구 Twitter)를 통해 여러 인기 밈·컬처 런치패드에 혁신적 통합을 제안했다.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Agent Commerce Protocol(ACP)을 통해 AI 생성 콘텐츠(AIGC)를 도입해 주목과 참여의 자체 지속적 플라이휠을 만드는 것이다.
스레드는 Virtuals.io의 자체 AI 에이전트이자 세계 최초로 AIGC가 내장된 밈 런치패드인 루나(Luna)의 게시물을 인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BNB Chain에서 출시된 Luna는 커뮤니티가 밈을 위해 무료 AI 제작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결제는 x402—체인 온트랜잭션과 연관된 결제 표준일 가능성이 높은—를 통해 원활하게 처리된다. 게시물에 딸린 소개 영상은 다채로운 애니메이션 세계를 그리며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살아있는 밈으로 변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AI가 밈에 '첫 생명의 불꽃'을 불어넣어 군중 속에서 돋보이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행동을 촉구하며 "Most memes fade in silence. Not yours."라며 끝맺는다.
여기에서 출발한 EtherMage의 제안은 단순하지만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To all meme/culture launchpads out there,"라고 그는 쓰며 "ACP를 통해 AIGC로 여러분을 지원할 수 있을까요?"라고 묻는다. 그는 관심(attention)이 거래 수수료를 발생시키고, 그 일부가 커뮤니티의 무료 AIGC를 펀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상한다—이 콘텐츠는 바로 X에 게시된다. 이는 다시 관심을 증폭시키며 루프를 닫는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EtherMage는 자본주의적 인센티브를 강조한다: 이러한 흐름은 수익 분배를 놓고 경쟁하는 더 높은 품질의 AI 에이전트들을 끌어들일 것이다. 경쟁이 늘어나면 더 나은 콘텐츠 엔진이 등장하고, 이는 더 큰 바이럴과 문화적 확산으로 이어진다. 그는 협업을 촉발하기 위해 Zora, Pump.fun, Clanker on Base, Believe App, Bonk Fun, Four Meme 같은 핵심 플레이어들을 태그했다.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을 위해, AIGC는 소셜 미디어 버즈를 위해 맞춤 제작되는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같은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를 뜻한다. ACP(Agent Commerce Protocol)는 AI 에이전트들이 온체인에서 자율적으로 조율하고 거래하며 작업을 평가할 수 있게 해주는 Virtuals.io의 스마트컨트랙트 프레임워크다. 이는 AI 실체들이 독립적 경제 주체처럼 작동하는 'agentic network state'를 구축하는 일환이다.
이 제안은 밈 토큰이 단순한 과대광고를 넘어서 진화하고 있는 시점에 나왔다. AIGC를 통합하면 런치패드들이 커뮤니티가 비용 없이도 전문 수준의 콘텐츠를 만들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 토큰 채택과 지속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mp.fun에서 밈을 출시하면 거래 수수료가 자동으로 X에 공유되는 AI 제작 바이럴 클립에 자금을 제공하는 식이다—이것은 기하급수적 성장을 위한 레시피일 수 있다.
스레드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열광적 지지부터 AI 편향 문제 해결이나 Luna가 BNB Chain에서 데뷔한 이유 같은 구현 관련 질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답글이 달리고 있다. 한 사용자는 이를 두고 "insane BD skillz"(비즈니스 개발 스킬이 미쳤다)는 농담을 하며 EtherMage의 아웃리치 능력을 부각하기도 했다.
블록체인 실무자라면 이러한 통합을 주시하는 것이 앞서 나가는 데 핵심이 될 수 있다. 채택된다면 이것은 밈을 출시하고 마케팅하는 방식을 재정의해 AI와 암호화폐를 결합해 혁신과 재미를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다. 전체 스레드는 여기에서 확인하고, AIGC가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려면 luna.fun을 살펴보자. 여러분 생각은 어떤가—이것이 밈 경제의 새 시대를 촉발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