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ry Tan, Y Combinator의 사장 겸 CEO는 최근 X(구 Twitter)에서 억만장자들과 그들이 야심 찬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는 역할에 대해 활발한 논쟁을 촉발했습니다. 그는 벤처 투자자 Sebastian Caliri를 인용한 글에서 억만장자들이 실제 영향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비영리단체들보다 "문샷"—매우 야심차고 고위험인 벤처—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핵심 주장: 기분 좋은 자선보다 문샷
Tan의 게시물은 "자본주의에 남아 있는 마지막 비합리적 행위자"로서의 억만장자를 옹호한 Caliri의 논지에 기반합니다. Caliri는 고액 자산가(HNW)와 패밀리 오피스처럼 수십 년 동안 자본을 묶어두고 큰 위험을 감수할 의지가 있는 이들이 없었다면, 장수 연구, 우주 탐사, 핵융합 같은 분야에서의 돌파구가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이런 투자들은 전형적인 벤처 펀드가 "판독 가능한 리스크(legible risks)"와 기관의 기대에 묶여 쉽게 지원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닙니다.
Tan은 강하게 동의합니다. "사실입니다. 억만장자들은 자신들이 해결한다고 주장하는 문제를 악화시키는 비영리단체들보다 문샷에 자금을 대야 합니다." 그는 이를 "책임 관리(stewardship) 문제"로 규정합니다 — 비영리단체에 수표를 끊고 갈라에 참석하며 스스로를 칭찬하는 것은 쉽지만, 성과를 엄격히 추적하지 않으면 그 돈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세계에서 이 주장은 깊게 공명합니다. 예를 들어 밈 토큰은 궁극적 의미의 "비합리적" 베팅을 대변합니다: Dogecoin 같은 커뮤니티 주도, 바이럴 프로젝트나 단순한 밈과 과대광고만으로 급등하는 신생 코인들입니다. Elon Musk 같은 암호화폐 억만장자들은 한 트윗으로 밈 코인을 띄운 사례로 유명하며, 이를 통해 전통 금융에 도전하는 문샷을 만들어냈습니다.
암호화폐와 연결하기: 블록체인 혁신의 촉매로서의 억만장자
생각해보면, 암호화폐 공간은 문샷에 의해 성장해왔습니다. Decentralized finance(DeFi), non-fungible tokens(NFTs), 그리고 layer-2 스케일링 솔루션들은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자금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검증되지 않은 기술에 거액을 걸 의지가 있는 비전가들로부터 나왔습니다. Vitalik Buterin(이더리움 공동창업자)이나 Changpeng Zhao(전 바이낸스 CEO) 같은 인물들은 종종 자신들의 재단이나 직접 투자를 통해 생태계 구축에 자원을 쏟아부었습니다.
하지만 Tan의 비영리단체에 대한 비판은 이 분야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이더리움 재단이나 Solana Foundation 같은 재단을 설립하는 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개발을 관리하려 했습니다. 일부는 성공했지만, 다른 일부는 비효율성이나 자금 배분 문제로 비판을 받았습니다. Tan의 책임성 촉구는 암호화폐 억만장자들이 순수한 투기보다 실질적 성과에 초점을 맞춘 직접적이고 결과 중심의 이니셔티브에 자금을 대도록 압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틸리티를 강조하는 밈 토큰 프로토콜 인큐베이팅 같은 방식입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 사고방식의 전환은 더 많은 기회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억만장자들이 갈라용 자선에서 고위험 스타트업으로 자금 방향을 전환하면, AI 통합 블록체인이나 지속 가능한 마이닝 기술 같은 분야에서 혁신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단, 측정 가능한 결과를 주시하면서 말이죠.
커뮤니티 반응: 밈에서 진지한 논의까지
이 게시물은 빠르게 2,000개 이상의 좋아요와 거의 100개의 답글을 기록하며 광범위한 공명을 일으켰습니다. 한 사용자 @virlomain은 위의 슈렉 밈으로 "트위터의 여섯 억만장자"가 동의하는 모습을 유머러스하게 묘사했는데, 이는 이 비합리적이고 문샷 지향적 태도를 대표하는 Elon Musk 같은 인물들을 암시합니다.
다른 답글들도 비슷한 감정을 드러냈습니다:
- @spencercamp는 "비영리 산업 복합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하라. 문샷 스타트업에 자금을 대라"고 촉구했습니다.
- @keyboardphilos는 가장 터무니없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댄 사람들을 위한 상이나 리더보드 같은 방식으로 게임화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sarah_cone는 X Prize와 같은 상금 제도나 "성공 기반 지불(pay for success) 채권"을 전통적 비영리단체의 효율적인 대안으로 옹호했습니다.
비판자들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michaeltastad는 잘못된 정부 정책을 무시하면 얼마나 진보적인 문샷이 있더라도 기술 발전을 좌절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밈 토큰 커뮤니티에서는 이 논의가 더 많은 "비합리적" 투자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밈 코인은 종종 농담으로 시작하지만 진지한 생태계로 발전하곤 합니다 — 예를 들어 Shiba Inu는 자체적인 DeFi 도구를 만들어냈습니다. 억만장자들이 Tan의 책임 관리 개념을 밈 토큰에 적용한다면, 우리는 펌프 앤 덤프가 줄고 더 지속 가능한 성장이 나타나는 것을 보게 될지도 모릅니다.
밈 토큰 애호가들에게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
본질적으로 Tan의 메시지는 효과적 박애주의(effective altruism)를 실천하자는 외침입니다. 밈과 바이럴 펌프 뒤에는 실제적인 책임 관리가 있으면 재미있는 실험들이 지속 가능한 기술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밈 토큰 관계자들에게 상기시켜 줍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들은 주목해야 합니다: 외모만을 위한 지원이 아니라 결과를 요구하는 후원자를 찾으십시오.
다음 대형 밈 코인을 만들든 DeFi 프로토콜을 확장하든, 책임성을 갖춘 문샷 사고방식을 받아들이는 것이 돌파구의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가 성숙해감에 따라 더 많은 억만장자들이 Tan의 조언을 따르길 바랄 뿐입니다 — 위험한 한 번의 베팅이 미래를 만드는 데 쓰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