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에 불을 지핀 그 트윗
암호화폐 기자 로라 신(Laura Shin)이 최근 비트코인 커뮤니티를 흔드는 도발적인 트윗을 공유했습니다. Unchained 팟캐스트 클립을 올리며 그녀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은행을 대체하도록 만들어졌지, NFT를 보관하도록 만들어진 게 아니었다. 아니었나?" 이 티저는 Blockstream의 CEO 아담 백이 출연한 에피소드 918의 한 장면을 강조합니다.
클립에서 백은 네트워크를 어지럽히는 '스팸성 사용자들'에 반대한다는 주장을 펼치며, 2014년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을 설립하기 위해 떠난 일과 유사한 과거 사건을 언급합니다. 그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이 이 사용자들을 점진적으로 더 불편하게 만들어 다른 곳으로 밀어내 비트코인의 핵심인 결제 시스템을 지켜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전체 트윗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에피소드는 Unchained 웹사이트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팟캐스트 심층 분석: Core 대 Knots 논쟁
"Bitcoin Core vs Knots: Why Developers Are Fighting Over a Coming Change"라는 제목의 이 에피소드에서는 아담 백과 비트코인 개발자 크리스 구이다(Chris Guida)가 비트코인 생태계의 기술적 분열을 논의합니다. 핵심 쟁점은 OP_RETURN인데, 이는 트랜잭션에 소량의 데이터를 붙일 수 있게 해주는 스크립트 opcode입니다—2014년부터 최대 약 80바이트까지 허용돼 왔습니다.
메인 구현체인 Bitcoin Core는 이 제한을 풀어 체인에 더 많은 데이터를 허용하려는 반면, Bitcoin Knots라는 파생 버전은 제한을 유지하는 코드를 가지고 있어 일부가 말하는 '스팸'을 억제하려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스팸은 이미지, Ordinals를 통한 NFT, 혹은 Runes 같은 프로토콜로 만든 밈 토큰처럼 금융적 목적이 아닌 데이터들을 의미합니다.
사이퍼펑크 출신으로 사토시 나카모토에게 영감을 준 인물로 자주 언급되는 백은 비트코인의 건전한 화폐로서의 정체성 보호를 강조합니다. 그는 과도한 데이터가 수수료를 올리고 일상적인 사용을 방해할 수 있는 위협이라고 봅니다. 구이다도 과거 변화에 대한 저항 때문에 부테린 같은 혁신가들이 떠났던 점을 지적하며, 그러나 초점 유지를 위해 이런 제한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토론은 채굴자들이 필터를 우회할 수 있는 가능성과 노드의 분권화 특성에도 닿습니다—약 22%의 노드가 Knots 같은 non-Core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강점이 변화에 대한 저항력에 있지만, 동시에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킵니다.
커뮤니티 반응: 순수성 대 진보
해당 트윗은 주목을 받으며 더 넓은 논쟁을 반영하는 답글들을 촉발했습니다. 한 사용자는 "금도 결국 보석으로 만들어진다"라며 비트코인이 부가 요소들을 수용하면서도 자산 저장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잃지 않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다른 이들은 반대 의견을 냈습니다: "비트코인은 분명 진화가 필요하고, 이것이 그 가치에 큰 추진력이 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었고, 한 비평가는 "저 사람은 사실상 비트코인을 위한 수탁(은행)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며 Blockstream의 Liquid Network 같은 제품을 언급하며 백의 입장에 위선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또 다른 답글은 전문화를 강조했습니다: "많은 체인들이 NFT 저장을 위해 존재한다"라며 비트코인은 화폐로서의 역할에 전념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이런 반응들은 분열을 드러냅니다—순수주의자들은 네트워크를 가볍게 유지하길 원하고, 진보 지향자들은 밈과 NFT가 사용자 유입을 촉진할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이 논쟁이 비트코인의 밈 토큰에 의미하는 바
밈 토큰 애호가들에게 이 논쟁은 매우 민감한 문제입니다. Ordinals(문맥상 NFT)와 Runes(대체 가능한 토큰) 같은 프로토콜은 Pepe에서 영감을 받은 토큰부터 기발한 실험작까지 비트코인에 밈 코인 물결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높은 수수료는 민팅과 거래를 비싸게 만들어 최고치에서는 트랜잭션당 100달러가 넘기도 했습니다.
만약 Knots식 접근법이 힘을 얻는다면, 데이터 집중 활동이 제한되어 밈 제작자들이 수수료가 낮고 확장성이 좋은 Solana나 Ethereum 같은 체인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OP_RETURN 제한을 풀면 비트코인의 다재다능성이 높아져 밈의 허브로서 인기를 끌고 채택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밈 토큰 허브로서 비트코인은 보안성과 분산화라는 독특한 매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영혼' 문제는 균형으로 귀결됩니다: 비트코인이 반(反)은행적 정신을 희석하지 않으면서도 진화할 수 있을까요? 백의 견해는 조심스러운 쪽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시장은 다른 결정을 내릴지도 모릅니다.
이 소프트포크 드라마가 전개되는 과정을 주시하세요—비트코인 생태계에서 밈 토큰을 보는 방식을 재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밈 토큰 트렌드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우리 지식 베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