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대규모 암호화폐 청산이 밈 토큰을 강타하다: 카일의 트윗에서 본 인사이트

대규모 암호화폐 청산이 밈 토큰을 강타하다: 카일의 트윗에서 본 인사이트

암호화폐라는 거친 세계에서, 밈 하나가 바이럴해 부가 뒤바뀌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운명이 뒤집힐 수 있다는 사실을 2025년 9월 22일이 뼈저리게 상기시켜 줬습니다. 급격한 시장 급락으로 전반적으로 약 17억 달러에 달하는 청산이 발생했는데, 이는 4월 이후 최대 규모였습니다. 이번 폭락은 누구도 예외로 두지 않았지만, 특히 커뮤니티 중심의 과열된 밈 토큰들이 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사태는 비트코인이 단숨에 112,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시작됐고, 약 2.5%가 급락했습니다. 이더리움도 크게 뒤따랐고, Solana 같은 알트코인은 무려 10%나 급락했습니다. 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22만 명이 넘는 트레이더가 청산 피해를 입었고, 그중 가격 상승에 베팅한 롱 포지션이 약 16.2억 달러 상당이 날아가 가장 큰 피해를 봤습니다. 참고로 청산은 레버리지 거래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해, 거래소가 손실을 메우기 위해 포지션을 강제로 청산하는 것입니다. 시장의 무정함을 보여주는 방식이지요.

여기서 등장하는 인물이 카일(@0xkyle__)입니다. Defiance Capital의 테시스 기반 투자자인 그는 이번 혼란을 정확하게 포착한 트윗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이전에 자신이 쓴 "the cavalry has arrived, send it" — 아마도 펌프를 기대하는 강세적 표현 — 를 인용한 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largest liquidation since April? someone once said, the market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money from the leveraged to the spot holders." 카일의 한마디가 적절하네요. 이 말은 과도하게 레버리지를 쓴 트레이더들이 결국 차분히 현물을 보유한 HODLers에게 자금을 이전해준다는 오래된 시장의 격언을 떠올리게 합니다.

BTC와 ETH에서 1억 5,315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지갑 청산을 보여주는 차트

댓글 중 눈에 띄는 사례 하나를 보면, 완전히 쓸려나간 지갑이 있었습니다. 만들어진 지 일주일밖에 안 된 그 지갑은 당시 570만 달러 상당의 50 BTC를 팔아 수천만 달러 규모의 BTC와 ETH 롱 포지션에 레버리지를 걸었습니다. 그런데 그날 아침에만 세 차례 청산당해 총 노셔널(명목금액) 1억 5,315만 달러 중 마진으로 490만 달러를 잃었습니다. 그리고 반전처럼, 트레이더는 43배 레버리지로 224 BTC에 숏 포지션을 잡는 극단적 행동을 보였습니다. 복수성 거래(revenge trading)가 난장판이 된 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Hypurrscan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팀이 주로 다루는 것은 밈 토큰이니 그 부분을 더 들여다보겠습니다. 이 코인들은 투기와 소매 투자자들의 과열심리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매도세에 가장 쉽게 표적이 됩니다. 개를 테마로 한 인기 토큰 Shiba Inu(SHIB)는 이제 PEPE에게 2위 밈 코인 자리마저 넘겨줄 위기에 처했습니다. SHIB는 광범위한 알트코인 하락을 그대로 반영해 급락했고, PEPE는 상대적으로 선방했지만 여전히 충격을 받았습니다. Solana 기반의 밈들은 더 아팠습니다. SOL이 10% 하락하면서 그 생태계 위에 구축된 여러 고양이·강아지 토큰들은 몇 시간 만에 20~30%까지 급락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왜 밈 코인들이 이렇게 크게 맞을까요? 답은 단순합니다. 많은 경우 이들 코인은 Binance나 Bybit 같은 플랫폼에서 높은 레버리지로 거래하는 소매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이 반전하면 이런 포지션들이 한꺼번에 청산되어 하락폭을 증폭시킵니다. 게다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일부 기관 투자자의 뒷받침이 있는 자산과 달리, 밈 코인은 사회적 감정(소셜 센티먼트)에 크게 의존합니다. 이런 플래시 크래시가 발생하면 분위기가 순식간에 무너져 공황 매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을 내다보면, 이번 사건은 밈 토큰 애호가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변동성은 이 게임의 본질이지만, 스마트한 리스크 관리가 당신의 가장 좋은 친구라는 점입니다. 카일이 언급한 것처럼 스팟 홀딩(현물 보유)은 100배 레버리지만큼 흥미진진하지 않을 수 있지만, 더 오래 시장에 남아 있을 수 있게 해줍니다. 밈에 뛰어들 예정이라면, 폭풍을 견딜 수 있는 실질적 유틸리티나 강한 스토리를 가진 커뮤니티—예컨대 DeFi나 NFT를 통합한 프로젝트—에 주목하세요.

이런 사건들이 밈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더 알고 싶다면 Meme Insider를 계속 주시하세요. 카일의 관점을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원문 스레드를 X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계심을 유지하세요—암호화폐의 구원병이 올 때도 있지만, 때론 곰의 위장일 뿐일 때도 있습니다.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