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Meteora에서 SOL-USDC 풀에 LP하는 Nito의 다일 전략

Meteora에서 SOL-USDC 풀에 LP하는 Nito의 다일 전략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프로들이 어떻게 LP(유동성 공급)를 하면서 타격을 피하는지 궁금했던 적 있나요? Meteora가 최근 트윗에서 @0xNitoo를 소개하며 SOL-USDC 풀에 적용하는 스마트한 다일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Solana 생태계에 관심이 있거나 DeFi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싶다면 이 내용은 금과도 같습니다. 어렵게 풀지 않고 단계별로 짚어드릴게요—전문 용어 과다 사용은 없습니다.

왜 이 전략이 밈 토큰 세계에서 중요한가

밈 토큰은 Solana의 속도와 낮은 수수료 덕분에 잘 돌아가지만, 그 이면에는 SOL-USDC 같은 탄탄한 유동성 풀이 모든 것을 매끄럽게 유지해 줍니다. 유동성 공급은 단순히 자산을 넣어두는 게 아니라, 가격 변동을 헤쳐나가며 수수료를 벌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Nito의 접근법은 매일 손을 많이 대지 않고 장기 보유하는 데 초점을 맞춰, 밈 런치나 다른 블록체인 활동을 병행하는 사람들에게 안성맞춤입니다.

Meteora의 트윗에서는 Nito가 포지션을 설정하는 방법, impermanent loss(IL—풀에 넣은 자산이 단순 보유 대비 손해를 보는 현상)를 다루는 방식, 가격 변동에 맞춰 조정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첨부된 비디오는 약 6분 분량의 핵심 팁이므로 꼭 보세요.

범위 그리기: 장시간 프레임으로 단순하게 유지

Nito는 큰 그림부터 시작합니다. 월간(monthly)과 주간(weekly) 차트를 사용해 넓은 범위를 정의하고 과도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습니다. SOL-USDC의 경우 2021년 ATH와 최근의 저항(지지로 전환된 레벨) 같은 주요 역사적 레벨을 기준으로 범위를 잡습니다.

  • 월간 보기(Monthly View): 과거 정점부터 현재 바닥까지 넓은 범위를 파악합니다.
  • 주간 분석(Weekly Drill-Down): 지지와 저항으로 범위를 좀 더 정밀하게 다듬습니다.

이건 데이트레이딩이 아닙니다; 며칠에서 일주일 단위의 플레이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범위를 넓게 하지만 전략적으로 잡으면 계속해서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수수료를 챙길 수 있습니다.

범위 분할: 하단·중간·상단 전술

전술적인 부분입니다. Nito는 가격 범위를 하단(low), 중간(medium), 상단(upper) 세 구간으로 나누고 그에 맞춰 LP 포지션을 조절합니다. 그의 기준 통화는 베어마켓에서 특히 안정적인 USDC입니다.

  • Low Range (Medium to Low): USDC 단일(one-sided)로 포지션을 가져갑니다. 이렇게 하면 안정화폐로 수수료를 벌면서 가격이 하락할 때 SOL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일종의 하향 DCA(dollar-cost averaging)처럼 작동해 저렴하게 SOL을 쌓습니다.
  • Upper Range (Medium to High): SOL 단일(one-sided)로 전환합니다. 가격이 펌프할 때 SOL을 USDC와 수수료로 팔아 수익을 고정합니다. 수동으로 매도할 필요가 없습니다.

중간 구간에서는 두 자산을 균형 있게 보유합니다. Nito는 SOL이 새 ATH를 찍을 것이라고 낙관한다면 impermanent loss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합니다—포지션을 닫을 때까지 그 손실은 'impermanent' 하다는 뜻입니다. 변동성을 버티면 그 손실은 종종 되돌아옵니다.

Impermanent Loss 관리와 일일 점검

IL은 초보자들을 겁먹게 할 수 있지만, Nito의 관점은 단순합니다: SOL이 큰 상승이 예상된다면 손해를 보고 팔 이유가 없지 않느냐는 것. 그는 포지션을 하루에 한 번 또는 주 단위로만 확인하고, 미세 조정을 위해 일간(daily) 차트를 사용합니다. 핵심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Yearly Open Levels: 지지/저항 역할을 하며 가격이 여기서 자주 반등합니다.
  • Fair Value Gaps (FVGs): 차트상의 단순한 불균형 구간으로, 가격이 '채우기(fill)' 위해 돌아갈 가능성이 있는 지점입니다. Nito는 수수료를 극대화하기 위해 더 타이트한 풀 범위를 설정할 때 이걸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호가 스프레드로 수익을 챙기는 방식(bid-ask flipping)을 쓰지 않습니다; Nito는 범위 시장(ranging market)에서 수수료를 쌓기 위해 현물(spot) 거래 방식을 선호합니다. Meteora의 다이내믹 유동성과 함께라면 일종의 자동 DCA 기계로 작동—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깨질 때 조정하기: 유연성 유지

시장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SOL이 어떤 핵심 레벨(예: FVG가 지지로 바뀌는 경우)을 깨면 Nito는 범위를 다시 그립니다. 예컨대 상승 돌파가 나오면 SOL-USDC 균형 포지션을 새로 열어 상승 구간에서 더 많은 수익을 농사(farm)합니다.

이런 적응력은 과도한 노출 없이 시장에 계속 참가하게 해 줍니다. 목표는 일일 약 0.3%의 수수료(주간으로는 약 2%)—밈 수준의 폭발적 수익은 아니지만 SOL 같은 견고한 자산에서 꾸준하고 저위험의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마무리: 이 방식은 당신에게 맞나?

Nito의 전략은 Solana에 대해 낙관적이며 인내심 있는 투자자에게 빛을 발합니다. 유지 보수가 적고 Meteora의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LP를 수동적 소득원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밈 토큰에 관여하고 있다면 다음 런치 자금을 마련하거나 폭락에 대한 헤지로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차트의 시각적 설명은 원본 트윗에 있는 전체 비디오를 확인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Meteora 문서를 참고하거나 커뮤니티에 물어보세요. 이 내용은 재정적 조언이 아닙니다—직접 조사(DYOR)하고 소액으로 시작하세요.

유동성 유지하세요, 여러분! 🚀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