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Ronin Network, 450만 달러 규모의 $RON 바이백 발표: 게임 밈과 암호화폐에 주는 의미

Ronin Network, 450만 달러 규모의 $RON 바이백 발표: 게임 밈과 암호화폐에 주는 의미

Ronin Network가 최근 $RON 토큰 바이백 소식으로 암호화폐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게임이나 밈 토큰에 관심이 있다면 놓치고 싶지 않은 소식입니다. 바이럴 게임 Axie Infinity를 지원하는 것으로 유명한 Ronin 팀은 9월 29일부터 트레저리에서 450만 달러를 투입해 토큰을 재매입할 예정입니다. 이 조치는 단순한 가격 띄우기가 아니라 생태계에 대한 진정한 신뢰의 표현입니다.

Ronin과 다른 토큰을 들고 있는 만화 생물들 일러스트

바이백이란 프로젝트가 자체 자금을 사용해 시장에서 자사 토큰을 되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렇게 되면 유통 공급이 줄어들어 수요가 일정하면 가격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에서는 일부 밈 프로젝트처럼 무제한 발행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수익으로 뒷받침되는 바이백은 꽤 드문 일입니다.

@StarPlatinumSOL의 X 스레드에 따르면 $RON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3억 7천만 달러 수준이며, 유통 중인 토큰은 6억9300만 개로 총 공급량의 약 69%에 해당합니다. 이번 발표 전까지 $RON은 게임 토큰들 가운데 하위권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번 바이백으로 한 달 동안 유통 물량의 약 1.3%를 사들여 일일 약 $150,000의 매수 압력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금은 895 ETH(약 400만 달러 상당)와 650,000 USDC로 나뉘며, 이 기간 동안 트레저리 매도는 없습니다.

Ronin 토큰 가격 성과를 보여주는 CoinMarketCap 차트

주목할 점은 이 자금이 홍보 자금이나 투자자 자금이 아니라 실제 생태계 수익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Ronin의 수익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Katana DEX(탈중앙화 거래소)에서의 거래마다 부과되는 0.05% 수수료.
  • Ronin Market의 0.5% 수수료와 OpenSea 수수료의 일부.
  • Ronin Name Service 등록 및 갱신 수수료의 30%.
  • 이더리움의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인 EIP-1559를 통한 가스비 일부.

이는 Ronin이 지속가능하게 구축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유사한 바이백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른 프로젝트들도 긍정적 성과를 보였습니다. 예컨대 MakerDAO는 바이백 후 일주일 만에 가격이 23% 급등했고, Synthetix는 perp fees를 지속적 재매수에 활용하며, Binance는 분기별로 BNB를 소각합니다.

하지만 시점이 핵심입니다. 이번 바이백은 Ronin이 Ethereum Layer 2(L2) 솔루션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앞두고 실시됩니다. L2는 이더리움 상의 거래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만드는 확장 기술입니다. 현재 Ronin 활동의 70%는 이전 강세장 때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수많은 밈을 낳은 play-to-earn 게임 Axie Infinity에서 발생합니다. L2 전환은 단일 히트작을 넘어서 더 많은 게임과 사용자를 끌어들이려는 목표를 담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지배하는 밈 토큰 영역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대규모 FOMO(놓칠까 봐 불안함)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Ronin은 순수한 밈 토큰은 아니지만 게임과 커뮤니티 기반의 과열된 관심과의 연관성으로 밈과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Axie의 펫들은 바이럴된 초기 NFT로서 순수한 밈의 마법을 떠올리게 합니다.

바이백은 보유자에게 강력한 보상 신호이자 프로젝트 건전성의 표시이지만, 진짜 성과는 마이그레이션 이후에 검증될 것입니다. Ronin이 게임 밈과 그 너머에서 필수적인 체인이 될 수 있을까요? 매수는 9월 29일에 시작되므로 모든 이목이 그날에 쏠려 있습니다. $RON을 보유하고 있거나 게임 관련 암호화폐를 주시하고 있다면 이번이 중대한 분수령이 될 수도 있습니다.

Meme Insider에서 블록체인 밈과 기술의 실제 전개 상황에 대한 추가 업데이트를 계속 확인하세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