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SEC 위원 Hester Peirce의 밈 코인 발언: 규제되지 않은 도박과 블록체인 시퀀서의 규제 영향

SEC 위원 Hester Peirce의 밈 코인 발언: 규제되지 않은 도박과 블록체인 시퀀서의 규제 영향

여러분, 밈 토큰 애호가들 안녕하세요! 암호화폐의 야생 세계에 깊이 빠져 있다면, 아마도 SEC 위원 Hester Peirce의 최근 발언 소식을 들었을 겁니다. Blockspace Media가 진행하는 The Gwart Show 최근 에피소드에서 Peirce는 밈 코인부터 블록체인 기술까지 솔직한 의견을 내놨습니다. 여기서는 특히 Meme Insider에서 우리가 열광하는 밈 토큰 장면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Peirce의 밈 코인 평가: 단지 디지털 수집품?

우선, Peirce는 밈 코인이 전형적인 증권이 아니라고 분명히 했습니다. Howey Test를 기억하시나요? 1940년대의 대법원 판례로, 다른 사람의 노력으로 이익을 기대하고 돈을 투자하면 투자계약(즉 증권)일 수 있다는 기준입니다. Peirce에 따르면 대부분의 밈 코인은 중앙 팀이 무언가를 만들어서 가격을 올려주겠다고 약속하지 않기 때문에 이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그녀는 밈 코인을 Beanie Babies나 트레이딩 카드 같은 디지털 수집품에 비유했습니다. 재미나 열기, 소셜 미디어에서의 과시를 위해 사는 거죠. 그런데 핵심은 그녀가 이를 "규제되지 않은 도박(unregulated gambling)"이라고 불렀다는 점입니다. 돌려 말하지 않았습니다. 밈 코인을 살 때 SEC가 사기나 덤프에 대한 보호를 제공해주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창작자가 rug를 까거나 pump-and-dump가 벌어지면, 결국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eirce는 구매자들이 이 점을 처음부터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말하자면 '구매자 주의(caveat emptor)'입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건 중요합니다. 밈 토큰이 재미와 약속 부재의 특성을 유지하는 한 SEC의 강한 감독 없이도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는 경계하라는 경고이기도 합니다: 항상 DYOR(do your own research)하고 익명 팀이나 의심스러운 지갑 같은 빨간 깃발을 주의하세요.

Peirce가 말하는 대부분의 토큰이 증권이 아닌 이유

좀 더 들어가 보면, Peirce는 "등록의 함정(registration trap)"을 설명했습니다. ICO 붐 당시 프로젝트들은 SEC에 쉽게 등록할 수 없었는데, 규칙은 감사된 재무제표를 가진 대기업을 대상으로 만들어졌지, 네트워크를 직접 부트스트랩하는 소규모 개발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녀는 생태계 구축을 약속하고 판매된 토큰은 처음엔 증권일 수 있지만, 네트워크가 분산화되면 그 토큰은 유틸리티나 단순 상품으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건 그녀의 "ancillary assets" 개념과도 연결됩니다: 토큰 자체가 항상 증권인 것이 아니라, 그 주위의 약속들(bundle of promises)이 핵심이라는 얘기죠. 밈 코인의 경우 보통 그런 약속 번들이 없습니다—그냥 분위기(vibes)뿐입니다. Peirce는 프로젝트들이 두려움 없이 혁신할 수 있도록 더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토큰이 단순 투기가 아니라 커뮤니티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 더 탄탄한 밈 생태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퀀서 논쟁: 단일 시퀀서가 거래소가 될 수 있을까?

이제 이 글의 발단이 된 스레드(ceterispar1bus on X)로 넘어가봅시다. Gwart는 Peirce에게 단일 시퀀서(많은 이더리움이나 Solana 기반 Layer 2에서 트랜잭션 순서를 정하는 중앙화된 노드)에 대해 물었습니다. 만약 그들이 증권을 거래한다면, 그들은 증권거래소로 간주될 수 있을까요?

Peirce의 답변은 어느 정도 "그럴 수 있다"였습니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단일 주체가 주문을 통제하고 증권을 포함한 거래를 매칭한다면 거래소로 등록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죠. 이 발언은 '얼마나 많은 검증자가 있어야 분산화된 것으로 보일까? 2명? 4명? 100명?' 같은 질문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밈 토큰 측면에서 이 문제는 중요합니다. 많은 밈 토큰이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위해 단일 시퀀서를 사용하는 L2에서 거래되기 때문입니다. 규제 당국이 단속하면 비용이 오르거나 밈 론칭의 혁신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이는 진정한 분산화를 촉진해 암호화폐의 본래 정신과 맞닿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Peirce는 코드가 곧 코드라는 점을 강조하며—오픈소스 프로토콜은 누구의 소유도 아니므로 순수한 DeFi 밈 프로젝트를 보호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밈 토큰 트레이더와 빌더에게 의미하는 바

Peirce의 대화는 규제 지형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밈 코인은 비증권으로서 어느 정도 자유를 얻지만, 안전망은 없다는 사실을 기대하세요—순수한 도박입니다. 빌더들에게는 투명성이 핵심입니다: 자금 관리(treasury)가 있다면 공개하고 누가 통제하는지 밝혀야 합니다(가능하면 "지하실의 세 사람" 같은 표현은 피하길). "투자계약"처럼 들리는 약속은 피하세요.

앞으로 FIT21이나 Clarity Act 같은 법안이 논의되면서 암호화폐에 맞춘 규정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Peirce는 성장 억제를 피하면서 투자자도 보호하는 균형 잡힌 접근을 촉구합니다. 밈 토큰이 거버넌스나 유틸리티와 연계되며 진화해간다면, SEC의 눈을 피하진 못하니 규제 준수를 염두에 두세요.

밈을 거래하는 사람이라면, 과열은 빠르게 식을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분산투자, 온체인 분석 툴 활용,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알파를 찾아보세요. Meme Insider는 여러분이 이 공간을 더 똑똑하게 항해하도록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Peirce의 견해에 대한 생각이 있나요? 댓글에 남기거나 X에서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계속 밈하세요! 🚀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