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암호화폐 프로젝트에서 가치 추출자를 표시해야 할까? TGE 덤핑 심층 분석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애호가 여러분! 최근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머무르고 계셨다면, 아마 X에서 "가치 추출자(value extractor)"에 대한 뜨거운 토론을 접하셨을 겁니다 — TGE(Token Generation Event)에서 토큰을 획득하고 곧바로 덤핑한 뒤 다음 프로젝트로 옮겨 다니는 사람들 말이죠. 2025년 7월 26일에 Filip (cookie) @fwielanier님이 올린 한 게시물이 모두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이 내용을 분석하며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무슨 이야기인가요?

Filip은 큰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합니다. 만약 누군가가 TGE에서 토큰을 전량 덤핑하고 떠난다면, 그들을 "가치 추출자"로 분류해야 할까요? 그리고 그렇다면 그들의 계정을 표시하거나(플래그 처리) InfoFi 시스템의 포인트 같은 보상을 줄여서 진정한 가치를 더할 때까지 제한해야 할까요? 단순한 생각 이상의 문제로, 암호화폐 커뮤니티 참여 보상 방식을 재고하자는 제안입니다.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TGE는 프로젝트가 토큰을 처음 공개하는 시점으로 보통 에어드롭이나 판매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InfoFi(Information Finance)는 지식 공유나 프로젝트 홍보에 대한 보상을 얻는 신흥 트렌드입니다. 여기서 목표는 '캠페인 호핑'—즉, 여러 프로젝트를 돌아다니며 장기적 성공에는 관심 없이 보상만 챙기는 행위를 막는 것입니다.

커뮤니티 의견은?

Filip의 게시물에 달린 답글들은 다양한 관점을 담고 있습니다. R2D2 @R2D2zen은 모든 사람을 플래그 처리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고 봅니다. 이들은 토큰 공급량의 0.2%~0.5% 정도인 소규모 할당량 덤핑이 큰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시장 조성자나 내부자가 먼저 팔아 분위기를 형성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합니다. R2D2는 엄격한 규정을 도입하기 전에 고퀄리티 창작자 양성이 더 필요하며, 억지로 토큰을 보유하게 하면 프로젝트가 실패할 경우 '바이백 홀더(bag holder)'가 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합니다.

pudgy teddy @pudgyteddy는 문제는 단순히 포인트 농사가 아니라 올바른 행동에 보상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현재 시스템은 게시물 작성이나 체크인처럼 눈에 보이는 활동을, 프로젝트를 깊이 연구하는 것 같은 진정한 신념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인식 기반 스킨 인 더 게임(epistemic skin in the game)" 방식을 제안하며, 자신이 지지하는 바를 깊게 이해하는 이들에게 보상이 돌아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Doggfather @DoggfatherCrew는 TGE 후에도 머무르는 사람들에게 '충성도 지수(loyalty factor)'를 부여하는 아이디어를 좋아하지만, 모든 지갑 추적이 이색 거래소나 콜드 스토리지 등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고 덧붙입니다.

그리고 IcoBeast.eth @beast_ico는 반대로 문제는 TGE에서 멈추는 인센티브 시스템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에어드롭 이후 보상이 끊기면 누가 출시 후 행동에 신경 쓸까요? 이는 프로젝트 설계가 초기 호황을 넘어 지속성을 염두에 둬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왜 중요한가요?

이 논쟁은 암호화폐가 지닌 커뮤니티 주도 정신의 핵심을 건드립니다. 프로젝트는 초기 지지자들(보통 홍보를 적극 하는 "yappers"나 "snappers"라고 불림)에 의존해 모멘텀을 쌓습니다. 그러나 그 지지자들이 즉시 현금화하면 토큰 가격이 폭락하고 진정한 신봉자들이 손해를 보게 됩니다. 반대로 너무 빨리 '가치 추출자'로 낙인찍으면 실제로는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 합법적 참여자들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을 R2D2가 지적합니다.

Filip의 포인트 감점 제안은 스팸을 줄이고 신념 있는 참여를 촉진하려는 시도입니다. 하지만 스레드가 보여주듯, 문제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균형 잡힌 시스템은 신입이나 어려운 상황의 사람들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충성도에는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프로젝트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더 나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설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기 몇 가지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 TGE 이후까지 보상 연장: IcoBeast가 제안하듯, 출시 후 장기적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유지합니다.
  • 신념에 집중: pudgy teddy의 아이디어처럼, 피상적 활동보다 깊이 있는 참여(예: 양질의 콘텐츠 작성, 리서치 등)에 보상을 줍니다.
  • 충성도 보너스: Doggfather의 충성도 지수는 TGE 이후에도 보유하거나 홍보하는 이들에게 포인트를 추가 제공합니다.
  • 양보다 질: R2D2의 제안처럼 엄격한 규제 도입 전 헌신적인 창작자 풀을 키우는 데 주력합니다.

각 프로젝트의 목표에 따라 접근법이 달라집니다. 밈 코인은 재미있는 참여를, DeFi 프로젝트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핵심은 인센티브가 프로젝트의 비전과 커뮤니티 가치에 부합하는지 여부입니다.

더 넓은 맥락

이 대화는 더 넓은 암호화폐 트렌드와 연결됩니다. 펌프 앤 덤프(pump and dump) 사기는 악의적 행위자들이 토큰을 과대 홍보한 뒤 매도해 다른 이들을 손해 보게 하는 대표적 예입니다. 또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공급과 수요 설계가 프로젝트를 안정시키거나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Filip의 게시물은 이러한 도전과제들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으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촉구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가치 추출자를 표시해야 할까요, 아니면 실질적 가치를 보상하는 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밈 토큰이나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 있다면 meme-insider.com에서 더 많은 인사이트와 업데이트를 확인하세요. 대화를 계속 이어가 봅시다!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