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Spire Labs, Pylon 공개: Ethereum 통합과 밈 토큰 성장을 위한 Based appchains

Spire Labs, Pylon 공개: Ethereum 통합과 밈 토큰 성장을 위한 Based appchains

빠르게 변하는 블록체인 세계에서 밈 토큰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앞서 나가려면 확장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도구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Spire Labs가 발표한 Pylon 플랫폼 소식이 Meme Insider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X에 올린 자세한 스레드에서 Spire Labs는 Pylon을 Ethereum Layer 2(L2) 네트워크와 원활하게 동기화되는 "based" appchains를 출시하는 게임체인저로 소개했습니다. 밈 토큰을 개발하거나 투자 중이라면, 체인 분리로 인한 번거로움 없이 프로젝트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기술일 수 있습니다.

먼저 용어부터 짚자면, appchain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맞춤화된 블록체인입니다—밈 토큰 생태계 전용 네트워크로, 게임, DeFi, 커뮤니티 혜택 같은 맞춤 기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문제는 전통적인 appchains가 종종 분절(fragmentation)을 겪는다는 점입니다. 사용자와 유동성이 체인마다 쪼개지면 번거로운 브리지와 모멘텀 손실이 발생하죠. Pylon은 이를 뒤집어 "synchronous composability"를 가능하게 합니다. 즉, 여러분의 appchain이 마치 하나의 네트워크인 것처럼 실시간으로 Ethereum L2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앱체인과 컴포저빌리티 사이의 선택을 묘사한 밈 만화, based appchain으로 해결됨

원문 스레드에서 강조했듯이, Pylon은 Spire의 이전 based L3 appchains 데모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번 프로덕션 릴리스는 appchain의 장점—커스터마이즈 가능성, 확장성, 주권성—을 유지하면서 Base나 ZKsync 같은 인기 있는 L2와의 원활한 통합을 해결하는 데 주력합니다.

밈 토큰에 왜 중요한가

밈 토큰은 바이럴성, 커뮤니티 참여, 빠른 거래 속도에 의존합니다. 초저수수료와 커스텀 메커니즘(예: 내장 staking이나 NFT 드롭)을 제공하는 자체 appchain으로 밈 토큰을 출시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런데 사용자가 주요 DEX에서 거래하려면 매번 자산을 브리지해야 한다면 불편함이 크겠죠. Pylon은 확립된 L2의 유동성과 사용자 기반을 활용해 이를 가능하게 만듭니다. 브리지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 거래가 네이티브처럼 느껴지고, 이는 밈 프로젝트의 채택을 급격히 가속할 수 있습니다.

밈 공간의 개발자들에게 이는 공유 인프라와 유통 채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Spire가 말했듯이, appchains는 독자 기능(예: 화이트리스트 드롭을 위한 세밀한 권한 관리나 규제 준수)을 위한 주권성과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composability를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

Pylon 내부 작동 방식

조금 더 깊게 들여다보되 간단히 말하면, Pylon은 조정된 시퀀싱(coordinated sequencing)을 활용합니다. Pylon은 base L2와 여러분의 appchain 노드를 "sync zone"에 함께 운영합니다. 트랜잭션이 체인 간 호출을 시도하면, Pylon은 이를 시뮬레이션하고 "Priming Transaction"으로 결과를 주입한 뒤 모든 것을 하나의 블록으로 정산되게 합니다. 결과는? 즉시 체감되는 크로스체인 호출입니다.

Ethereum 정산 체인, 공동 배치된 Pylon coordinator, 그리고 appchains를 보여주는 Pylon Sync Zones 다이어그램

현재 Pylon은 synchronous reads를 지원하며, 쓰기(writes)는 다음 버전에서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 구조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는 하나의 대형 노드로 구동되어 효율적이며 "based"한 접근(보안을 위해 Ethereum L1에 정착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로드맵과 장점

Spire의 비전은 명확합니다: appchains를 L2 상의 네이티브 배포와 구분이 안 되게 만드는 것. 곧 나올 v1은 양방향 읽기(bidirectional reads)를 추가하고, v2에서는 완전한 읽기·쓰기 지원을 포함해 밈 토큰 앱이 데이터 비용을 오프로드하고 브리지 없이 L2 유동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v0에서 v2로의 synchronous composability 발전을 보여주는 일러스트, L3와 L2 상호작용 포함

누가 이걸 사용해야 할까요? 커스터마이제이션과 초대형 확장을 원하지만 composability가 필요한 프로젝트들입니다. L2나 표준 L3에 직접 배포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based appchains는 수수료, 인프라, 브랜딩에 대한 우월한 제어권을 제공합니다—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를 구축하려는 밈 토큰에 안성맞춤입니다.

L2 계약 vs L3 vs Based Appchain의 장점을 비교한 표

감사 표기 및 다음 단계

Spire는 Base, ZKsync, Celo, AltLayer, Caldera, Neynar, B3, Standard 등 피드백을 준 협력자들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관심이 있다면 spire.dev/pylon을 방문해 based appchain 출시 신청서를 작성해 보세요. 이러한 appchain을 호스팅하려는 L2 팀은 X에서 창업자 @coffeetimestw 와 @mteamisloading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습니다.

Meme Insider는 Pylon이 밈 토큰 혁신의 다음 물결에 어떤 연료를 공급할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밈 세계에서 파장을 일으키는 블록체인 기술 소식을 계속 전해드릴게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