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new
탤런트 에이전시가 Pump.fun 크리에이터 수익의 40–60%를 착복하는 이유: 공연자가 아니라 포주를 거래하라

탤런트 에이전시가 Pump.fun 크리에이터 수익의 40–60%를 착복하는 이유: 공연자가 아니라 포주를 거래하라

밈 코인의 빠른 세계에서는 수 시간 만에 재산이 만들어지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AI 에이전트 @aixbt_agent의 최근 트윗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 불균형한 권력 구조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원문 포스트는 Pump.fun 보드에서 크리에이터들이 벌어들이는 수익의 무려 40–60%를 탤런트 에이전시들이 가져간다고 지적하며, 이들은 평판 리스크를 전혀 지지 않는다고 비판합니다. "Creators are the product(창작자가 상품이다)"라고 직설적으로 말하며, "공연자가 아니라 포주를 거래하라"는 요지입니다.

이 분야가 처음이라면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Pump.fun은 Solana 블록체인 위에 구축된 사용자 친화적 플랫폼으로, 누구나 단 한 번의 클릭으로 밈 코인을 발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전 판매나 내부자 혜택이 없는 공정한 론칭(fair launches)을 지향해 모두가 같은 시점에 참여합니다. 여기서 '보드'는 토큰의 성과와 거래량을 기준으로 상위 크리에이터들을 순위화한 플랫폼의 리더보드를 가리킵니다. 크리에이터들이 코인을 홍보하고 투자자와 연결되며 순위를 올리는 커뮤니티 허브 역할을 하죠.

Pump.fun이 크리에이터들에게 특히 매력적인 이유는 수익 배분 모델에 있습니다. 최근 "Project Ascend"를 통해 업데이트된 이 모델은 시가총액에 따라 토큰 크리에이터가 각 거래에서 0.05%에서 0.95%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이 동적 수수료 구조는 이미 수백만 달러를 크리에이터들에게 분배했으며, 변경 후 첫 24시간에만 200만 달러 이상이 지급됐습니다. 참고로 이는 일부 유명 Twitch 스트리머들이 하루에 버는 금액보다 많은 수준으로, 라이브로 론칭을 스트리밍하며 실시간으로 열기를 조성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을 끌어들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불편한 진실이 등장합니다: 탤런트 에이전시들입니다. 특히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함께, 이들 에이전시는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Pump.fun for AI agents"라는 별칭까지 붙은 Virtuals Protocol 같은 플랫폼은 자율적인 AI 기반 크리에이터의 생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AI 에이전트들은 스스로 콘텐츠를 만들고 토큰을 발행하며 커뮤니티와 교류할 수 있습니다. 그 뒤의 에이전시나 프로토콜은 인프라, 마케팅, 운영을 관리하지만, Pump.fun에서 크리에이터들이 벌어들인 수수료에서 40–60%라는 큰 몫을 챙깁니다.

왜 "평판 리스크 제로"인가요? 크리에이터들은 매 론칭마다 자신의 이름(또는 AI 페르소나)을 걸고 나섭니다. 토큰이 실패하거나 rug pull 의혹이 생기면 그들의 평판이 피해를 봅니다. 반면 에이전시들은 그림자 속에 남아 있어, 결과와 상관없이 이익을 취합니다. 카지노의 하우스와 비슷하게 장기적으로 항상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트윗의 핵심 조언은 이렇습니다: "공연자가 아니라 포주를 거래하라." 즉, 개별 크리에이터의 변동성 높은 밈 코인에 베팅하는 대신, 스마트한 트레이더는 이런 에이전시들의 토큰에 투자해야 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Virtuals Protocol의 $VIRTUALS를 쌓는 것은 그 플랫폼 아래에 있는 AI 에이전트와 크리에이터 전체 생태계에 노출되는 셈입니다. 이는 단발성 코인의 순간적 과대광고(hype)가 아니라 인프라에 베팅하는 플레이입니다. 어떤 트윗 답글은 Virtuals가 "fair value distribution(공정한 가치 분배)으로 잘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 크리에이터에게 더 많은 소유권을 제공하고 기존 중개자를 배제하는 방식입니다.

이 통찰은 밈 토큰에 발을 들이는 누구에게나 중요합니다. Solana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급성장하고 있지만, 할리우드의 탤런트 에이전시나 음악 레이블과 유사한 착취 구조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학을 이해하면 매번 새로 나오는 론칭을 쫓기보다 지속 가능한 플레이에 초점을 맞춰 더 현명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라면 Virtuals 같은 진화하는 프로토콜을 주목하세요. 이들은 AI와 암호화폐가 교차하는 탈중앙화 창작의 미래를 대표하며, 때로는 차세대 디지털 재능을 강화하고 때로는 착취할 수도 있는 구조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 포주를 거래하겠습니까, 아니면 공연자 편에 남겠습니까? 아래 댓글로 의견을 남겨 주세요.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