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Solana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밈 토큰의 야생 세계에 뛰어들 계획이라면, 탄탄한 프레임워크 하나가 승리 트레이드와 빠른 손실을 가르는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 X의 @narkokek 스레드에서는 원래 MeteoraAG 고급 부트캠프에서 공유된 @in2nguyen의 시장 분석 10단계 프로세스를 자세히 설명한 비디오를 소개했습니다. 이 치트시트는 DLMM 풀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려는 유동성 제공자(LP)와 트레이더에게 적합합니다.
모든 밈 토큰 플레이에 모든 단계가 필요하진 않지만, 이 프로세스는 자본을 투입하기 전에 기회를 철저히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제 각 단계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핵심 용어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하나씩 분해해 보겠습니다.
Step 1: 목표와 시간 프레임 정의
우선 당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세요. 30분몇 시간 내의 빠른 플립(단기), 며칠간의 보유(중기), 아니면 더 긴 기간을 목표로 하나요? 밈 토큰은 종종 과대광고(hype)에 따라 급등하므로 단기중기 플레이가 흔합니다. 자본 규모와 목표 ROI를 고려하세요—예를 들어 투기적 트레이드에서 10%를 목표로 삼는 식입니다. 이로써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한 번의 덤프가 이익을 날려버릴 수 있는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경계가 설정됩니다.
Step 2: 비트코인(마크로) 상황 점검
비트코인은 종종 광범위한 암호화폐 시장의 방향을 좌우합니다. CoinGlass의 청산 히트맵 같은 도구를 사용해 큰 손들이 스탑을 사냥할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찾아보세요. 노란색 영역은 높은 유동성 수준을 나타내어 잠재적 지지나 저항을 시사합니다. 횡보장(crab market)에서는 BTC 하락에 의해 끌려 내려갈 수 있는 밈 토큰의 나쁜 진입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tep 3: 온체인 데이터 분석
투명성을 위해 온체인 지표를 파고들어 보세요. GMGN.ai 같은 도구로 지갑 분포와 거래량을 확인하세요. 이상적인 균형은 높은 거래량과 낮은 지갑 수가 동시에 나타나지 않는 것입니다—후자는 고래의 공급 통제를 의미할 수 있어 차트가 혼란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50만 달러 정도의 밈 토큰이라면 더 나은 분배를 위해 최소 1,000개의 고유 지갑을 목표로 하세요. 지갑을 분류(신규, 스나이퍼, 내부자 등)하고 번들(봇이 사용하는 연결된 지갑 클러스터)을 주시하세요.
Step 4: 토크노믹스 및 유틸리티 평가(있다면)
밈 토큰은 과대광고에 의해 살아가지만, GMGN의 버블맵 같은 도구로 공급 분포 같은 기본 사항을 확인하세요. 버블들이 고르게 퍼져 있으면 분배가 건강하다는 신호이며, 하나의 거대한 버블은 공급 통제를 의미합니다. 상위 지갑, 거래소, 풀이 보유한 비율을 검토하세요. 유틸리티가 있다면(순수 밈에서는 드물지만) 간단히 평가하세요—대부분은 커뮤니티와 촉매(catalysts)에 의존합니다.
Step 5: 다중 시간 프레임 기술적 분석 수행
단기(5–30분) 진입을 위한 지지/저항과 장기(4–24시간) 관점에서의 레벨을 모두 사용하세요. TradingView 같은 도구로 이를 플롯하면 유용합니다. 밈 토큰의 경우 초기 거래에서 스나이퍼 봇이 지배하는 신호로 'god candles' (초대형 심지봉)을 주의하세요—이는 나중에 급락을 유발할 수 있는 적신호입니다.
Step 6: 심리와 촉매 평가
틱커와 컨트랙트 주소를 검색해 X에서 버즈를 확인하세요. 멘션, KOL 포스트, 커뮤니티 심리를 끌어옵니다. 팀 업데이트나 고래 매수 같은 긍정적 촉매는 펌프를 촉진할 수 있고, 공급 통제 의혹 같은 부정적 요인은 엑싯 신호입니다. 피드를 끝까지 훑어(hidden gems) 숨은 기회나 경고를 찾아보세요.
Step 7: GMGN 필터 활용
GMGN의 필터로 더 깊이 있는 통찰을 얻으세요: 고래 지갑 추적, dex paid(마케팅 노출), positions 탭(오픈 LP), KOL/VC 개입, Telegram 콜, 개발자 활동, X 콜 등을 확인하세요. 개발자(dev)의 매도는 밈 토큰에서는 통제권을 넘긴다는 긍정 신호일 수도 있고 차트를 폭락시키는 부정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번들 비율이 낮을수록 공정한 플레이에 적합합니다.
Step 8: Fabrique V2로 풀 선택
컨트랙트 주소를 확보했다면 Fabrique V2에 입력해 모든 Meteora 풀을 스캔하세요. 거래량(24h, 1h, 5m)으로 정렬하고 다이내믹 수수료(100–200과 같은 변동성이 큰 빈에서 더 높음)를 우선시하세요. 참가자 수를 확인하세요—LP가 적을수록 수수료를 더 많이 챙길 수 있습니다. JUP와 Meteora 점수를 참고해 오가닉 거래 퀄리티(점수가 높을수록 봇 활동이 적음)를 판단하세요.
Step 9: 명확한 진입 및 청산 규칙 설정
강세 추세에서는 되돌림(10–20% 풀백)에서 진입하세요. 급하게 포지셔닝할 때는 스팟 전략이나 혼합 커브를 사용해 신고가 근처에서 공격적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30–50% 감소하면 청산하거나 사전에 정한 ROI에 따라 나가세요. 밈 변동성에서 무영구손실(Impermanent Loss) 위험을 줄이기 위해 범위를 넓게 조정(+20%/-30%)하세요.
Step 10: 승패를 기록해 학습하기
비공개 저널(Discord, Telegram, 노트 등)을 유지해 트레이드를 검토하세요. 무엇이 통했고, 무엇이 통하지 않았는지, 새로운 기법은 무엇인지 기록하세요. 이 반복적 프로세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신의 엣지를 갈고 닦아줍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MeteoraAG 부트캠프에서 공유된 것으로, 밈 토큰 애호가들에게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플레이에 적용해 보되, 암호화폐는 위험하며 어떤 전략도 수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더 많은 알파를 위해 LP Army 같은 커뮤니티를 팔로우하세요.
전체 비디오 분해를 보려면 원본 스레드를 X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