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크립토 애호가와 밈 코인 팬 여러분! Web3 세계의 최신 소식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Coinbase의 새로운 “올인원 앱” Base App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앱은 크리에이터들이 수익을 얻는 방식을 바꾸고 있는데요. 최근 X(구 트위터)에서 크리에이터 Brooke Lacey가 시작한 스레드가 큰 화제를 모았고, @0xAneri와 @jessepollak도 참여했습니다. 이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실험이 크리에이터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불씨: Brooke Lacey의 Base App 경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Brooke Lacey는 Base App의 초기 액세스 단계에 참여해, 자신의 게시물과 연결된 코인을 발행하는 플랫폼을 경험했습니다. 그녀의 첫 게시물 “hello”만으로도 $0.52 팁을 받으며 놀랐다고 합니다. 이후 ‘Women in Web3’ 영상을 팔로워 4명과 함께 올렸을 때 그녀의 지갑 잔액은 최고 $185까지 치솟았죠. 그런데 반전이 있었습니다—가치가 폭락하기 전에 겨우 $65만 현금화할 수 있었고, 다른 사람들이 코인을 매도하면서 수익 모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됐습니다.
Brooke는 업데이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각 게시물이 코인을 발행하고, 내가 버는 돈은 사람들이 계속 거래를 해야 생기는 구조라면, 이건 크리에이터 수입이라기보다 작은 시장을 관리하는 것과 같아요.” 그녀는 게시할 때마다 자신도 모르게 마이크로 밈 코인을 만드는 건 아닌지, 크리에이터들이 보상받는 예술가가 아니라 꺼려하는 토큰 트레이더가 되는 것은 아닌지 고민했습니다.
Base App 크리에이터 수익 모델 작동 방식
@0xAneri가 명확하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Base App에 게시물을 올리면 두 가지 수익원이 작동합니다:
- 트레이딩에서 나오는 크리에이터 수익: 당신의 코인이 사고 팔릴 때마다 작은 수수료(wETH 또는 곧 USDC로 지급)가 지갑으로 직접 들어옵니다. 거래가 있을 때마다 채워지는 팁 통 같은 개념입니다.
- 코인 공급량의 1% 보유: 코인이 발행될 때 1%를 받습니다. 코인의 가치가 상승하면 이 1%의 가치도 크게 증가할 수 있죠. 보유하거나, 판매하거나,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Brooke는 수익화하기 위해 코인을 팔았고, @0xAneri는 이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게시물이 바이럴되고 거래량이 급증하면 코인을 오래 보유하는 편이 더 유리할 수 있다는 겁니다. 자신만의 밈 코인에 투자하는 셈이죠, 관객의 열정에 베팅하는 것입니다.
논쟁점: 지속 가능한가, 스트레스인가?
Brooke의 경험은 핵심 갈등을 보여줍니다. 이 모델은 그녀의 창작 활동을 직접 지원하는 대신, 사람들이 그녀의 코인을 사고파는 투기에 의존합니다. 그녀는 “사람들이 나에게 팁을 준 게 아니라 내 이름이 붙은 코인을 뒤집고 있었어요.”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때문에 반응이 엇갈렸는데, @iamheci 같은 사람들은 이것이 단순 거래 활동이 아니라 창의력을 직접 보상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반면 @JonnaCampbel327는 크리에이터들이 작은 시장 관리자처럼 변하는 게 너무 스트레스 받을 거라 걱정합니다.
Base App의 핵심 인물 @jessepollak도 이러한 피드백을 인정하며, 시스템이 아직 초기 단계이며 개선 중임을 강조했습니다. 목표는 플랫폼이 성숙함에 따라 코인을 장기 보유하는 게 빠른 매도를 능가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만드는 것입니다.
밈 코인 애호가에게 주는 의미
Meme Insider 입장에서는 이 스레드가 금광이나 다름없습니다. 밈 코인 메커니즘이 소셜 미디어에 스며들어 재미와 금융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니까요. 각 게시물이 잠재적 토큰이 된다는 것은 Dogecoin이나 Shiba Inu처럼 커뮤니티가 가치를 만드는 밈 코인 열풍의 놀라운 확장입니다. 하지만 질문도 함께 떠오릅니다: 크리에이터들이 갑자기 토큰 발행자가 될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Base App이 투기와 진정한 지원 사이에서 균형을 맞출 수 있을까요?
앞으로의 길
Base App 팀은 귀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Coinbase 생태계에 뿌리를 두고 USDC 결제 지원까지 갖춘 이 플랫폼은 성장할 태세입니다. 하지만 Brooke 같은 크리에이터를 위해서는 작은 시장 관리 부담을 줄이는 모델 조정이 관건일 겁니다. 앞으로 직접적인 팁 기능이나 코인 가치 안정을 위한 락업(lock-in) 기간 같은 업데이트가 도입될 수도 있겠죠.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이것이 크리에이터 수익화의 미래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투기용 러닝머신일까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고, 이 진화하는 Web3 최전선 소식을 Meme Insider에서 계속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