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fast-paced world of DeFi, where every millisecond counts in trading, Hyperliquid has carved out a niche as a high-performance Layer 1 blockchain dedicated to perpetual futures. Unlike general-purpose chains like Ethereum, Hyperliquid optimizes for speed and efficiency, making it a favorite among traders who crave low-latency executions. But recently, a tweet from @defi_monk sparked a lively discussion on whether Hyperliquid should shift to a geo-distributed validator model or stick with its current co-located setup.
Let's break it down. Hyperliquid runs on a proof-of-stake consensus where validators—nodes responsible for confirming transactions and securing the network—are all housed in the same data center, or "co-located." This design minimizes communication delays, allowing for sub-millisecond order matching that's crucial for perp trading (perpetual contracts, which are derivatives that don't expire).
In his tweet, @defi_monk argues:
I don’t think Hyperliquid ever needs to geo distribute its validators.
The multisig needs to be addressed, and with the Circle inclusion it’s looking more likely than not that that will be resolved soon.
But the colocated validators are literally part of what makes hyperliquid hyperliquid.
Liveness is certainly at risk, but as a user, I’d prefer a 5x better UX 99.9% of the time and accept the occasional downtime that might occur as a tradeoff.
I’m sure market makers would prefer this as well.
You can add more colo’d permissionless validators overtime but to ask HL to become a fully distributed blockchain is to ask it to change what made it so successful in the first place.
It’s just a different product.
여기서 "multisig"는 현재 Hyperliquid 팀이 비상 시 체인을 일시 중지하는 등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통제할 수 있게 하는 멀티시그(다중 서명) 메커니즘을 가리킵니다. 비평가들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하는 중앙화 포인트입니다. "Circle inclusion"은 아마도 Circle의 Cross-Chain Transfer Protocol(CCTP)을 통해 네이티브 USDC를 통합한 최근의 움직임을 가리키며, 이는 유동성을 높이고 브리지 자산 의존도를 낮춰 더 분산된 거버넌스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핵심 논점은 트레이드오프입니다. validators를 지리적으로 분산(geo-distributing)하면 지역 정전이나 공격 같은 장애에 대한 복원력(resilience)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레이턴시를 도입해 네트워크 속도를 늦춥니다. 트레이더와 마켓메이커가 초저지연 실행에 의존하는 Hyperliquid 같은 플랫폼에서는, 이런 지연이 dYdX나 전통적 중앙화 거래소들과의 경쟁 우위를 잠식할 수 있습니다.
Community Reactions and Key Replies
해당 트윗은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예를 들어, @fiege_max는 주요 시장 참가자들이 각자 밸리데이터를 운영하고 보안을 공동으로 강화하는 미래를 제안했는데, 일종의 신뢰성에 대한 베팅 전략처럼 보였습니다.
@defi_monk은 궁금하다는 투로 "So moar solana-esque?"라고 답해 Solana의 고처리량이지만 때때로 장애가 발생하는 모델과의 비교를 암시했습니다.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도 이어졌습니다:
- @OyeyemiRap20839는 Hyperliquid가 절대적 검열 저항성(censorship resistance)보다 처리량과 UX를 우선시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Ethereum과 대비시켰습니다.
- @dante_ieth는 밸리데이터 구성 변경 전에 거버넌스를 먼저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SMamblo는 UX 최적화가 Hyperliquid의 고유한 판매 포인트라는 데 동의했습니다.
한 유쾌한 답글에서 @FogeesHub는 단순히 "and with that lies opportunity"라고 적으며 다음 밈을 첨부했습니다:
이는 공간 내 잠재적 기회를 장난스럽게 가리키는 것처럼 보이며, 아마도 Fogo라는 다른 프로젝트를 홍보하는 듯합니다.
The Bigger Picture in DeFi and Meme Tokens
Hyperliquid 자체는 밈 토큰은 아니지만, 그 생태계는 perp trading을 통해 밈코인 세계와 자주 교차합니다. 트레이더들은 이 같은 플랫폼을 이용해 변동성이 큰 자산들, 즉 밈 토큰에 베팅하곤 합니다. 이 논쟁은 블록체인의 더 큰 긴장을 드러냅니다: 완전한 분산화를 무조건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특정 사용 사례에 맞춰 설계를 최적화할 것인가?
최근 DeFi 프로토콜의 밸리데이터 침해 사건들은 중앙화의 위험을 상기시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efi_monk이 지적하듯, Hyperliquid의 성공은 전문화된 접근법에서 나왔습니다. 코드를 오픈소스화하고 밸리데이터를 다양화하되 co-located를 유지하는 계획을 통해 프로젝트는 균형을 잡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DeFi 트레이딩에 관심이 있거나 블록체인 기술이 궁금하다면 Hyperliquid을 주목하세요. 밸리데이터 설계와 UX 혁신이 채택을 촉진하는 대표적 사례로, 일부 트레이드오프를 수용하는 한편 채택을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떤가요 — 속도를 택할 것인가, 보안을 택할 것인가? 댓글로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