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이 극심한 암호화폐 세계에서 재산은 순식간에 뒤집힐 수 있다. 이런 가운데 팟캐스터 Kevin(When Shift Happens Pod)의 한 트윗이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025년 10월 11일 게시된 글에서 Kevin은 레버리지가 현실보다 환상에 가깝다고 말하며 자신의 뼈아픈 교훈을 공유했다. 밈 토큰 열성팬과 지속 가능한 부를 구축하려는 블록체인 실무자들에게 이 메시지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자.
Kevin은 먼저 냉정한 진실을 강조한다. 매년 보통 두 번, 레버리지 포지션을 싹쓸이하는 대규모 청산 이벤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레버리지는 초보자에게는 자신의 거래를 증폭하기 위해 자금을 빌리는 것—즉 온전히 내 돈이 아닌 자금으로 크게 베팅하는 행위다. 이로써 수익은 확대되지만, Kevin이 지적하듯 하락장에서는 파괴적이다. "몇 달간 장부상으로 엄청난 돈을 벌다가도 몇 분 만에 전부 잃는다 - 매년. 두 번,"이라고 그는 경고한다. 이런 현실은 'to the moon'을 외치며 급등락을 반복하는 밈 토큰 업계에서 특히 더 와닿는다.
그는 리스크 관리만으로는 완벽히 보호받을 수 없다고 선을 긋는다. 코인이 하루에 50~70% 폭락하는 상황—암호화폐에서 너무나 흔한 시나리오—에서는 모두가 REKT(완전히 박살난 상태)가 된다. Kevin의 개인적 경험이 이를 뼈저리게 보여준다: 2020년 3월 COVID 폭락 당시 그는 순자산의 80%를 몇 분 만에 잃었다. 레버리지를 쓴 탓에 모든 암호화폐 보유분이 사라졌다. 그 사건이 그의 경종이었고, 그 뒤로 레버리지를 피해왔다고 한다.
그렇다면 해법은 무엇일까? Kevin은 무(無)레버리지 접근을 권한다. 포트폴리오의 80~90%를 상위 세 코인에 두라고—대개 Bitcoin, Ethereum, 그리고 Solana나 다른 블루칩일 가능성이 높다. 나머지 10%는? 그건 밈 토큰 같은 더 위험한 자산에 베팅하는 '플레이 머니'로 쓰되, 잃을 각오를 하라는 것이다. 이런 전략은 과열로 폭발적 성장을 할 수 있지만 종종 러그풀이나 급락으로 끝나는 밈 토큰 투자와 잘 맞아떨어진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사람은 이 사실을 뼈아프게 배운다. 암호화폐에서 살아남는 것이 핵심이다: 계정을 폭파시키지 말고, 포지션을 잃어도 포기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플레이하라. 밈의 광란 속에도 단기간에 부자가 되는 요행은 없다. 인내와 현명한 자산 배분이 관건이다.
트윗은 도전 없이 지나가지 않았다. 답글들이 반론을 내놓았다. 한 사용자 Innerdevcrypto는 레버리지가 소액의 순자산, 타이트한 stop-losses, 그리고 진짜 트레이딩을 아는 사람에 한해 작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Kevin은 프로들은 다룰 수 있을지 모르지만 일반인(normies)은 피해야 한다고 인정했다.
Djani라는 또 다른 답글은 절대 포기하지 말고 부업을 하며, 총 손실을 감당할 수 없다면 심지어 2x 레버리지도 피하라고 강조했다. Duo Nine은 적절한 리스크 관리로 아주 작은 포트폴리오 조각에 낮은 유효 레버리지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반박했다. 그러나 Kevin은 고수했다: 그 작은 퍼센트조차도 지워진다고.
좀 더 가벼운 분위기에서 Marcus는 '바닥에서 사라(buy the dip)'는 고전 조언을 풍자한 밈을 공유했다.
이 유머러스한 해석은 흔한 암호화폐 격언을 강조하지만, Kevin의 스레드는 신중하지 않으면 '딥을 사는 것'이 빚에 빠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Meme Insider의 밈 토큰 사냥꾼들에게 이는 시의적절한 경고다. 다음 Dogecoin이나 Pepe를 쫓는 일은 흥분될 수 있지만, Kevin의 조언—메이저 코인에 집중하고 리스크를 제한하라—을 섞어두면 혼란을 헤쳐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속 가능한 전략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우리 지식 기반을 확인해보라: meme-insider.com.
회복력 있는 포트폴리오를 다시 쌓아가자. 당신 생각은 어떤가—레버리지, 찬성인가 반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