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움직이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앞서 나간다는 건 단순히 거래만이 아니라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NotThreadGuy이 진행하는 CounterParty TV의 최근 클립에는 Jez로 알려진 @izebel_eth가 출연해, 지금이 암호화폐 콘텐츠 제작에 뛰어들기 좋은 시기인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counterpartytv가 올린 트윗은 "The Jez Interview"의 한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Jez는 현재의 암호화폐 장을 2007년 무렵의 YouTube 초창기와 비교합니다. 그 당시 소수의 크리에이터가 주도했고, 시청자는 이제 막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분야에서도 Jez는 주목할 만한 진지한 플레이어가 약 10~15명 정도에 불과하지만, 이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은 곧 급증할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클립의 핵심 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It’s like the Google YouTube 2007 era. There’s like 10-15 competent people that you’re fighting against, and the pie of attention is only going to grow. This is a really good industry to be in right now because it’s so opaque. You don’t know what you don’t know. There’s no Wikipedia... That’s why Friend.tech had product market fit because everyone wants to ask experienced people questions about the space, but you can’t DM them, can’t reply-guy them. It’s very hard to get people’s attention. So sort of like longer-form, more digestible content that’s not necessarily telling you what to buy but sort of pass on best practices... Whether it’s a live stream, whether it’s long-form writing, whether it’s just sort of consistent shorter-form posts... These sorts of things are... one of the best battlegrounds to be fighting on right now.”
Jez가 짚은 핵심은 암호화폐가 '불투명하다(opaque)'는 점입니다. 즉 투명하거나 이해하기 쉬운 분야가 아니라는 뜻이죠. Wikipedia처럼 방대한 중앙화된 참고자료가 있는 전통 분야와 달리, 암호화폐에는 신뢰할 수 있는 중앙 정보가 부족합니다. 이 격차는 콘텐츠 제작자가 채울 수 있는 큰 기회를 만들어냅니다.
밈 토큰에서 콘텐츠의 역할
밈 토큰은 커뮤니티와 과대 광고(hype)에 의해 번성하며, 종종 소셜 미디어의 버즈로 촉진됩니다. Dogecoin 같은 프로젝트나 신생 밈 토큰들이 밈, 스레드, 라이브 토크를 통해 어떻게 대규모 팔로워를 구축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Jez의 조언은 바로 여기에도 적용됩니다 — 소화하기 쉬운 콘텐츠를 만들어 신입 투자자들에게 토큰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사기(potential scams)를 피하는 방법을 알려주며, 특정 매수를 추천하지 않으면서도 거래의 모범 사례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이나 스트림 같은 장문 형식의 콘텐츠는 Solana나 Ethereum 같은 블록체인에서 밈 토큰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분해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liquidity pools" (거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자금이 잠기는 곳)나 "rug pulls"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버리고 자금을 빼가는 행위) 같은 용어를 해설하는 식이죠. 이런 작업은 단순히 관객을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체를 강화합니다.
경쟁이 적다는 것의 의미
상위 크리에이터가 대략 열두 명 정도에 불과한 지금 이 분야에 진입하면 틈새를 개척할 기회를 얻습니다. 특히 밈 토큰이 개인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면서 더 많은 사람이 암호화폐로 몰려들면 Jez가 말한 '관심의 파이'는 자연스럽게 커질 겁니다. 초기에 움직이는 사람들은 신뢰받는 정보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Jez가 언급한 Friend.tech을 보면, 사용자가 토큰화된 지분을 통해 전문가 접근 권한을 수익화할 수 있게 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Jez가 지적했듯이 직접적인 접근은 여전히 어렵기 때문에, 콘텐츠가 그 간극을 메우는 다리가 됩니다.
커뮤니티 반응과 영감
해당 스레드는 재미있는 반응들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 사용자 @SpicyNFT는 이렇게 답글을 달았습니다: "계속 올릴 콘텐츠 양에 대한 합리화로 삼을 거임. 전장(battleground)에서 보자." 이와 함께 올라온 강렬한 판다 밈:
이 이미지는 Jez가 말한 '전장' 분위기를 완벽히 시각화합니다. 다른 이들도 비슷한 감회를 표현하며 콘텐츠 제작의 허들이 낮다는 점을 언급했고, 타임라인을 쓸어버리겠다는 농담을 주고받았습니다.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영감을 받았다면 간단하게 시작하세요. 밈 토큰 트렌드에 대한 일관된 스레드를 X에 올리거나, Twitter Spaces(라이브 오디오 채팅)를 주최하거나, 이런 글처럼 기사를 작성해보세요. 핵심은 가치 제공입니다 — 단순히 무언가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말고 이유와 방법을 설명하세요.
전 CoinDesk 편집장으로서 질 높은 콘텐츠가 소음을 뚫고 나가는 것을 오래 보아왔습니다. 바이럴이 중요한 밈 토큰 세계에서는 교육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하는 것이 영향력을 확보하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
CounterParty TV의 이 클립은 우리에게 암호화폐 콘텐츠 영역이 아직 넓게 열려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군중이 몰려오기 전에 뛰어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