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암호화폐를 사랑하는 여러분! 밈 토큰과 블록체인 세계에 깊이 파고들어 있다면 포트폴리오를 '로테이션'—어떤 자산을 팔아서 다음 유망한 것으로 갈아타는—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어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이 전략이 오히려 여러분을 느리게 만들고 있을 수도 있다고 하면 어떨까요? 최근 X 스레드에서 TraderMagus가 내놓은 과감한 주장입니다 (여기서 확인하세요).
TraderMagus는 비주류 의견으로 말을 시작합니다: 로테이션이 많은 트레이더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 그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1년에 한 번, 또는 그보다 더 적게만 한다고 합니다. 핵심은? 자본이 있다면 끊임없이 매도하고 매수하는 것을 건너뛰라는 겁니다. 대신 승자 자산에 베팅을 더 늘리세요. 트렌드 초기에 로테이션은 훌륭히 작동할 수 있지만, 늦게 합류하면 재앙의 레시피가 됩니다. 세금 이벤트만 촉발하고, 결국 성과가 부진한 자산에 돈을 묶어두게 되죠—그럴 바에야 그냥 Bitcoin과 함께 편하게 버티는 게 낫습니다.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자본을 아직 쌓아가는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과거 사이클 여정을 TL;DR로 정리해 공유합니다:
- 2019년에 Chainlink (LINK)를 매수하고 2020년에 매도.
- 2020년에 Ethereum (ETH)을 매수.
- 2020년 말에 DeFi(Decentralized Finance—은행 없이 대출과 차용을 생각해보세요)에 롱 포지션.
- 2021년에 DeFi를 매도하고 Metaverse 프로젝트로 로테이션.
- Metaverse를 매도하고 GameFi(게임과 금융의 결합, 예: play-to-earn 토큰)로 이동.
- Bitcoin을 숏하고 모든 현물 포지션을 청산.
- 마침내 강세장이 마무리될 때 GameFi를 매도.
그는 후속 글에서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고 덧붙입니다. AI, Real World Assets (RWA), Layer 1 blockchains (L1s, 예: Ethereum이나 Solana 같은 베이스 레이어), 그리고 물론 밈 같은 내러티브들이 성장을 이끌었다고 말합니다. 2018년 이후로는 랜덤한 shitcoins(저평가·고위험 알트코인에 대한 은어)를 오래 들고 가는 것이 힘들었다고 하네요.
이제 이걸 밈 토큰과 연결해 봅시다. 여기 Meme Insider의 관심사죠. Dogecoin 같은 밈 코인이나 Solana 위의 신생 밈 토큰들은 과대광고와 커뮤니티에 의해 번성하지만, 동시에 변덕이 심한 자산입니다. 늦게 로테이션해서 들어가면 종종 고점에 매수하게 되고 곧바로 폭락을 맞기 쉽습니다. TraderMagus의 조언은 공감이 갑니다: traction이 붙는 강한 밈 토큰 같은 승자 자산을 갖고 있다면 왜 팔아야 하나요? 시장을 상회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면 가능하면 계속 추가 매수하세요.
하지만 자본이 적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전략적인 로테이션이 떠오르는 메타를 포착할 수 있게 해줍니다—예컨대 분위기가 DeFi에서 밈으로 전환될 때 점프하는 것처럼요. 핵심은 타이밍과 세금陷阱이나 FOMO(Fear Of Missing Out)성 매수에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이 스레드는 몇몇 리플라이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 사용자는 그가 이번 사이클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물었고, TraderMagus는 BTC와 Solana에 집중된 집중 베팅을 했고 몇몇 메타를 로테이션했으며 알트 시즌에는 적극적으로 트레이딩했고 건강과 삶의 즐거움을 우선시했다고 공유했습니다. 트레이딩이 전부는 아니라는 단단한 상기이기도 합니다!
블록체인 실무자로서 실력을 키우고 싶다면 이런 스레드는 금과도 같습니다. 암호화 전략의 진화를 보여주고 밈이 더 큰 그림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려주니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Team Rotate 아니면 Team Hold?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고, 밈 토큰에 대한 더 많은 인사이트는 여기서 계속 확인하세요.